우리나라 원전 수출 비상…도시바 “한전 더 이상 뉴젠 우선협상권자 아냐”

입력 2018-07-31 17:4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우디 원전에 이어 영국 무어사이드도 험난한 수출길 예고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오른쪽 두번째)이 지난해 11월 27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영국 내 원전 건설 프로젝트를 총괄하고 있는 그렉 클라크 기업에너지산업전략부 장관(왼쪽 두번째)과 면담을 갖고 '한-영 원전협력 각서 체결식'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관섭 한수원 사장, 그렉 클라크 장관, 백 장관, 조환익 한전 사장(연합뉴스)

우리나라의 원자력발전소 수출에 비상이 걸렸다. 사우디아라비아의 험난한 수출길 예고에 이어, 영국 무어사이드 원전사업자인 누젠(NuGen)인수 관련 누젠 지분 100%를 가지고 있는 도시바가 이달 25일 한국전력에 우선협상대상자 지위 해지 통보했기 때문이다.

3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도시바는 한전이 무어사이드 원전사업자인 누젠(NuGen) 인수에 대한 ‘우선협상권’을 더는 가지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도시바가 영국 무어사이드 원전 사업을 한전에 매각하기 위한 협상을 타결하지 못하자 다른 잠재적 구매자와도 협상할 것이라고 밝혔다. 도시바는 영국 정부, 다른 주주와 협의해 대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도시바 대변인은 다만 잠재적 합의를 위한 한전과의 협상도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최근 영국이 정부 재정균형을 고려해 신규원전사업에 새로운 사업방식인 RAB(Regulated Asset Base) 모델 도입을 추진 중이라고 공식 언급했다고 산업통상자원부는 전했다. RAB은 정부 규제기관(Regulator)이 안정적 수익률을 보장하고, 정부 지원 등으로 재원조달을 가능하게 하는 사업모델이다. 이와 관련 한전이 이 같은 새로운 사업방식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한 상황임을 충분히 공감하고, 도시바가 한전을 최우선으로 하여 협상을 지속한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달 30일 영국 런던에서 산업부와 한전은 영국 기업에너지산업전략부(BEIS)와 조인트 워킹 그룹 회의를 열고, RAB모델 도입에 따른 수익성 및 리스크 관리방안을 집중 논의했다고 밝혔다.

특히 RAB 모델 적용시 수익성 및 리스크를 검토하기 위한 ‘공동타당성연구’를 한전·도시바·뉴젠 중심으로 추진하기로 하고 공동타당성연구 착수회의도 열었고 이를 통해 유의미한 연구결과를 도출할 경우 한전 내외부심의를 추진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이어 영국 정부는 ‘한전에 대해 우선협상대상자 지위에 준해 무어사이드 원전사업을 위한 한국과의 협의를 지속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고 부연했다.

한전과 도시바 간 공동연구가 완료돼 수익성 및 리스크 경감방안이 확보되면, 한전은 정부와 긴밀한 협의를 거쳐 사업 참여를 위한 사내 심의절차 및 정부 여비 타당성을 추진할 예정이다.

앞서 사우디아라비아 우선 협상 대상 선정에서도 험난한 수출길이 예고됐다. 지난달 1일 한국, 미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 등 1단계 입찰에 참여한 5개국 모두가 예비사업자로 선정됐기 때문이다. 당초 우리 정부는 한국을 포함한 3개국 정도만 1단계 입찰을 통과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결과는 빗나갔다.

이처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 영국 무어사이드 원전과 사우디 원전 우선협상 대상 선정이 잇따라 예상과 달라지면서 원전 수출에 비상이 걸렸다.

다만 일각에선 도시바의 이번 통보가 한전을 압박해 협상력을 높이려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도시바는 원전 등 무리한 사업 확장으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편 지난해 12월 도시바는 누젠 지분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한전을 선정했다. 뉴젠은 21조 원 규모로 잉글랜드 북서부 무어사이드 지역에 차세대 원자로 3기를 건설하는 무어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