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디스크, 비수술적 신경치료 신경주사치료로 호전 가능해

입력 2018-07-24 09: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람 목 구조는 머리를 안전하게 지지해 주는 7개의 목뼈로 이루어져 있다. 이 목뼈와 뼈 사이에는 추간판(디스크)라는 쿠션 역할의 섬유 연골이 존재하는데 머리의 무게를 균등하게 분산시키고, 뼈가 움직일 때 목이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추간판에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목뼈가 생활하면서 퇴행성으로 변화되었거나 베개를 높게 베고 자는 습관, 장시간 핸드폰을 사용하는 경우처럼 바르지 못한 생활습관 및 자세가 계속된다면 목 통증과 함께 목 디스크가 발생하기 쉽다. 목 디스크는 목뼈 사이의 추간판이 빠져나와 신경을 압박하거나, 뼈 조직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하여 목을 지나는 척추 신경이 눌려서 나타나는 통증이다.

해당 질환의 대표적 증상은 목 통증과 방사통이 발생하게 되는데, 목과 어깨, 손 부위까지 통증 및 저림 현상 나타나게 된다. 이외에도 물건을 쉽게 놓치거나 쥐는 힘이 약해진 느낌이 들고, 걸을 때 다리에 힘이 풀려 휘청거릴 때가 발생한다.

이승구 척편한병원 원장은 “사람들은 목 디스크라고 하면 치료 정보에 대해 제대로 아는 경우가 적어 수술해야 한다는 생각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실제로 디스크의 증상으로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는 그렇게 많지 않으며, 정말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는 심각하게 디스크가 진행된 경우인 약 10% 내외로, 전문의 판단 후에 적합한 진행하게 된다”라고 전했다.

이어 “비수술적 치료법에는 전문의 상담, 검사 후에 도수치료나 체외충격파, 신경주사요법, 경막외 유착 박리술 등이 있다. 이 중 신경주사요법은 수술 없이 침만으로 치료하는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비수술적 치료 신경주사요법은 치료법이 매우 간단하여 컴퓨터 영상 투시 촬영장치(c-arm)를 통해 모니터를 보면서 피부 바깥쪽으로 긴 특수 주사바늘을 추간공 위치로 넣어 신경 주변의 염증과 부종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유착을 막기 위해 유착방지제도 주입하게 된다.

신경주사치료의 장점은 특별한 마취가 필요 없고, 치료 시간이 10분 정도로 짧아 한두 시간 내 바로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약물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 당뇨나 고혈압, 나이가 많은 고령자도 치료를 받을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