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라텍스 제품 10개 중 8개가 라돈 검출…정부, 사태 책임져야"

입력 2018-07-12 14: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라돈방출 라텍스 사용자 모임과 환경운동연합 등 5개 시민사회 단체 회원들이 1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라텍스방사능 오염실태조사 발표 및 정부대책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라텍스 제품 10개 중 8개에서 암을 유발하는 물질인 라돈이 검출됐고, 실내 공기질 기준치를 만족하는 제품은 조사 제품 중 3%밖에 되지 않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2일 시민방사능감시센터·한국YWCA연합회·환경운동연합 등 시민사회단체는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네이버 카페 '라돈 방출 라텍스 사용자 모임' 회원 709명을 상대로 지난달 8일부터 4일간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조사 응답자들의 라텍스 제품을 검사한 결과, 제품의 약 80%에서 라돈 검출이 의심되는 수치가 나왔다. 또 측정 결과, 실내 공기질 기준치인 4피코큐리(pCi/L)를 만족했다는 제품은 3%에 불과했다. 제품 중 31∼40피코큐리 측정치를 나타낸 비율은 13%, 21∼30피코큐리는 11%로 나왔다.

라돈은 장기간 호흡 되면 폐암 또는 위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응답자들은 라돈 제품으로 인한 피해 의심 증상으로 갑상선 관련 질환, 폐 질환, 호흡기 질환, 피부질환 등을 호소했다.

향후 대책에 대한 복수응답 질문에는 정부의 라텍스 제품 방사능 관련 실태조사가 필요하다는 응답률이 85%로 가장 높았다. 이밖에 환불·수거(71%), 건강피해 및 역학 조사(60%), 손해배상 소송(56%), 방사성물질 생활제품 사용금지(51%) 등의 순이었다.

이들 단체는 "라돈이 검출된 라텍스는 대진침대와 마찬가지로 모나자이트 또는 다른 방사성물질을 사용한 음이온 라텍스"라며 "라텍스 사용자들은 음이온 라텍스가 숙면을 유도하고 혈액순환과 면역력 등을 개선한다는 홍보만 믿고 제품을 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에는 음이온 라텍스를 침구류로 사용하는 인구가 급증해 방사능 피해자의 수가 늘고 있다"며 "소비자들은 결국 정부의 음이온 효과 인증을 믿고 제품을 산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들 단체는 정부가 관리 사각지대에 놓인 라돈 라텍스 사태의 책임을 져야 한다면서 라텍스 방사능 오염실태조사 실시, 피해자 건강역학 조사 및 추적관리 실시, 정부 차원의 수거 폐기 방안 마련, 생활제품에 대한 방사성물질 사용금지 등을 촉구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