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임대사업자 7625명 등록…혜택 몰린 장기 임대 비중 84%

입력 2018-06-11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5월 임대사업자 신규 등록 7625명 전년比 51.5%↑…누적 임대사업자 32만5000명

▲월간 임대사업자 등록 수 현황(자료=국토교통부)

주춤했던 임대주택사업자 등록과 주택수가 다시 탄력받고 있다.

11일 국토교통부는 5월 한 달간 총 7625명이 임대사업자로 등록해 지난해 같은 달보다 51.5%, 전월보다 9.9% 증가했다고 밝혔다. 5월 중 등록된 임대주택수도 전월 대비 20.5% 증가한 1만8900채로 집계됐다.

특히 5월은 8년 이상 임대되는 준공공임대주택의 등록 비중이 전월(69.5%) 대비 크게 늘어난 84.3%로 ‘임대주택 등록 활성화’의 정책효과가 본격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5월 등록한 임대사업자 수(7625명)는 지난해 월평균(5220명)에 비해서도 46.1% 증가했으며 누계로 총 32만5000명이 임대사업자로 등록했다.

지난달도 서울과 경기도에 신규 등록 사업자 비중이 높았다. 서울시(2788명)와 경기도(2370명)에서 총 5158명이 등록해 전국 신규등록 사업자 중 67.6%를 차지했다. 서울에서는 30.9%(861명)가 강남 4구(서초ㆍ강남ㆍ송파ㆍ강동)에서 등록했다. 강서구(162명)ㆍ마포구(162명)ㆍ영등포구(133명)에서의 등록도 두드러졌다.

5월 등록 임대주택 수는 1만8900채로 임대의무 기간별로는 8년 이상 임대되는 준공공임대주택이 1만5934채를 차지했다. 이는 전월 1만904채에 비해 46% 증가한 것이다. 올해 4월부터 양도소득세 중과배제, 종합부동산세 합산배제 혜택이 8년 장기임대주택에만 적용되면서 장기 임대주택 등록유도 효과가 본격화된 결과로 풀이된다. 5월까지 등록된 누적 임대주택 수는 총 114만 채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서울(6503채), 경기도(1만345채)에서 총 1만6848채가 등록해 지난달 전국에서 신규 등록한 임대주택의 89.1%를 차지했다. 서울시에서는 강남 4구(2723채)가 등록실적의 41.9%를 차지했다. 다음은 은평구(902채)ㆍ중구(745채)ㆍ노원구(677채) 순이었다. 특히 경기도는 등록임대주택 수가 지난달(4898채) 대비 2배 이상 증가해 전국에서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국토부 관계자는 “내년 1월부터는 연 2000만 원 이하의 임대소득에 대해서도 임대소득세와 건강보험료가 정상부과되지만 임대사업자로 등록 시 큰 폭으로 경감된다”며 “8년 이상 장기임대주택에 대한 양도소득세의 장기보유 특별공제율 혜택도 크게 확대(50%→70%)되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임대사업자 등록이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임대사업자 등록 시 적용 혜택(자료=국토교통부)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