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연구팀, 사람 피부처럼 늘어나는 ‘전자 피부’ 개발

입력 2018-05-31 10: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대 공대는 공동연구팀(공동1저자: 변정환<윗 사진 왼쪽> 박사·이윤택<아래 오른쪽> 연구원, 교신저자: 전기정보공학부 홍용택<아래 왼쪽> 교수, 기계항공공학부 조규진 교수)이 전자피부 컴퓨터 개발을 통해 소프트 로봇을 구동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31일 밝혔다.

최근 들어 각광받는 소프트 로봇은 연성 물질로 만들어져 단단한 경계 없이 각 로봇 부위가 유기적으로 연계돼 있는 로봇을 말한다. 간단한 제어로 높은 자유도의 연속 움직임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소프트 로봇은 인간-대화형 로봇, 생체모사 로봇, 의료용 로봇 등의 분야에서 크게 각광받고 있지만 기존의 소프트 로봇 구동은 대부분 커다란 공압 제어기, 회로기판 등에 의존해야 했기 때문에 소프트 로봇의 디자인과 움직임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피부처럼 늘어나는 전자피부를 개발해 소프트 로봇을 구동시켰다. 이 전자피부는 1㎜ 이하의 두께에 0.8g 이하의 무게로 작고 얇고 신축성이 있다. 소프트 로봇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몸체의 어느 부위에도 달라붙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연구팀은 전자피부의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성질을 이용해 한 쌍의 전자피부로 여러 종류의 소프트 로봇을 활성화시키고 제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이번 연구로 소프트로봇의 디자인과 기능성에 신기원을 열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연구를 진행한 홍용택 교수는 “이번 연구로 로봇과 인간의 상호작용 가능성에 한 획을 그었다”며 “로봇뿐만 아니라 인간과 연체 동식물과의 상호작용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용택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조규진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이윤택 서울대 연구원
▲변정환 서울대 박사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