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1일 ‘래미안 IoT 홈랩’ 공개 예정…내년 9개 프로젝트에 반영
“사물 중심의 집을 고객 중심의 집으로 확장한다는 콘셉트를 가졌다. 나아가 건강관리, 의료 및 보안 등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김명석 삼성물산 상품디자인그룹 상무)
28일 오전 11시, 서울 송파구 문정동에 위치한 ‘래미안갤러리’ 1층에 수십 명의 취재진이 몰렸다. 삼성물산이 다음달 1일 공개를 앞둔 ‘래미안 IoT 홈랩(HomeLab, 이하 IoT 홈랩)’을 언론사에 공개한 자리였다.
‘IoT 홈랩’은 사물 중심에서 고객 중심으로 서비스를 확대한다는 데 초점을 맞췄다. 개별 IoT 상품을 조절하는 수준을 넘어 각각의 IoT 상품이 입주민의 성향과 생활 패턴에 맞춰 유기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갖췄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IoT 홈랩’에는 총 13개 IoT 기업이 참여했으며 19개 상품이 적용됐다. 참여 기업은 삼성전자, 삼성SDS, SK(에이브릴). 하만, 코닉, 바디프랜드 등이다.
IoT 홈랩은 현관부터 주방, 방 곳곳에 자동화 시스템을 구성했다. 개인 정보는 스마트워치, 스마트폰을 통해 설정하면 IoT 홈랩은 작동한다.
‘삼성 기어’ 스마트워치를 착용한 시연자가 현관을 들어서니 미세먼지를 털어주는 ‘에어샤워시스템’이 가동하면서 바람이 나온다. 현관문 맞은편에는 날씨, 야구경기(선호 항목을 설정)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미러 시스템’이 설치돼 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8/05/600/20180528145220_1216617_1200_900.jpg)
삼성물산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현관, 주방, 거실, 안방, 운동방, 공부방, 영화관 등 7개의 콘셉트로 구성해 시연할 계획이다.
‘IoT 홈랩’은 내년 분양단지부터 본격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백종탁 삼성물산 전무(주택사업총괄)는 “고객들의 선호가 높은 상품들은 연내 상용화해 내년도 분양단지부터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당장은 다음달 분양할 것으로 예상되는 서초우성1차 아파트에도 적용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삼성물산은 내년에 9개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있다.
삼성물산은 API(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문제만 해결된다면 LG전자 등 타사제품 연계도 지금보다 더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 스마트워치나 스마트폰으로 LG전자 에어컨을 작동할 수 있는 식이다.
다만, 삼성물산은 IoT 홈랩 적용에 따른 공사비 조정, 상품 가격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김명석 상무는 “(IoT 홈랩은) 소형, 중형, 대형 평형대 모두 적용 가능한 시스템”이라며 “내부 센싱을 얼마나 하는지, 통신을 얼마나 설치하는지에 따라 가격이 차이가 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IoT 홈랩’ 쇼룸 운영은 내달 1일부터, 하루에 3회에 걸쳐 열린다. 한 회당 참여 가능한 인원은 10명이다. 쇼룸 방문을 희망하면 래미안 홈페이지 가입 후 관람 예약을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