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사ㆍ코스닥협 “행동주의 펀드 위협 심각…선진국 수준 경영권 방어제도 도입하라”

입력 2018-05-16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왼쪽부터 김정운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상근부회장, 박진선 샘표식품 회장, 정구용 한국상장회사협의회 회장, 김영재 대덕전자 회장, 정우용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전무

한국상장회사협의회와 코스닥협회가 경영권 방어제도 도입을 촉구했다. 최근 미국계 행동주의 펀드 엘리엇이 현대차그룹의 지배구조에 대한 목소리를 높인 가운데 상장사 대표 기구가 실질적 대응에 나선 것으로 관심을 모은다.

정구용 한국상장회사협의회 회장은 16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사옥에서 코스닥협회와 공동으로 기자간담회를 열고 ‘경영권 방어제도 도입 촉구를 위한 상장회사 호소문’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식에는 정 회장을 비롯해 샘표식품 박진선 회장, 대덕전자 김영재 회장, 김정운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상근부회장이 참석했다.

정 회장은 “장기적 관점에서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자발적으로 지배구조를 개선하는 과정에서 일부 행동주의 펀드의 경영간섭과 경영권 위협이 반복되고 있다”며 “선진국 수준의 경영권 방어수단 도입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정 회장은 “2003년 SK에 대한 소버린의 공격을 시작으로 2015년에는 삼성그룹에 대한 엘리엇의 공격 등이 있었고 이번에는 현대자동차 그룹이 그 대상이 됐다”며 “SK와 KT&G, 두 건의 사례에서만 해도 행동주의 펀드가 1년 남짓한 기간에 약 1조500억 원 대의 차익을 실현하고 철수했다”고 말했다.

양 협회는 이번 공격이 현대자동차 그룹의 지배구조 개선 노력에 대해 정책당국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벌어진 것이라 그 충격이 더욱 크다고 강조했다. 상장회사가 투자자와 함께 성장하고 일자리 창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감안할 때, 상시적인 경영권 위험이 국가경제에 큰 걸림돌이 된다는 것이 양 협회의 생각이다.

정 회장은 “‘차등의결권 주식’과 ‘포이즌 필’ 제도와 같이 세계 주요국에서 이미 보편화된 경영권 방어수단을 우리 기업들도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의 도입이 시급히 필요하다”라며 “감사 선임 시 3% 대주주 의결권 제한은 전 세계 어디에도 없는 규제로서 조속히 폐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