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인구 2460만명 남한 절반인데…1인당 GNI 겨우 22분의 1 수준
11일 통계청과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2016년 기준 북한의 국민총소득(GNI, 명목)은 36조3730억 원으로 조사됐다. 남한 1639조665억 원 대비 45분의 1에 불과한 규모다.
북한의 1인당 국민총소득은 146만 원으로 남한 3198만 원 대비 22분의 1에 그쳤다. 북한의 1인당 국민총소득은 2005년 105만 원에서 2008년 114만 원, 2010년 124만 원, 2015년 139만 원으로 조금씩 더디게 오르고 있다. 사실상 답보 상태가 장기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2005년 1894만 원에서 2007년 2136만 원으로 뛴 데 이어 2015년 3000만 원을 넘어섰다.
2016년 북한의 무역총액은 65억 달러로 남한 9016억 달러 대비 138분의 1에 머물렀다. 수출액은 28억 달러로 남한 4954억 달러 대비 176분의 1, 수입액은 37억 달러로 남한 4062억 달러 대비 109분의 1 수준이었다.
자동차 생산량은 3800대로 남한 422만8500대 대비 1113분의 1에 불과했다. 1965년 북한의 자동차 생산량이 4400대였을 당시 우리는 100대를 만들었다. 20년이 지난 1985년 북한은 1만8500대에 그친 반면 우리는 37만8100대 규모로 성장했다.
이후 우리는 계속해서 급성장을 이어갔지만 북한은 하락의 길로 접어들었다. 2011년 우리는 465만7100대로 올랐지만, 북한은 4000대 수준까지 떨어지며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2016년 북한의 이동전화(휴대폰) 가입자 수는 361만 명으로 남한 6130만 명 대비 17분의 1에 그쳤다. 인구 100명당 가입자 수는 14.26명으로 남한 122.65명 대비 9분의 1 수준이다.
북한의 발전설비용량은 766만kW(킬로와트)로 남한 1억587만kw 대비 14분의 1 규모다. 발전전력량은 239억kWh(킬로와트시)로 남한 5404억kWh 대비 23분의 1 수준이다. 북한의 1차 에너지 총공급량은 991만TOE(석유환산톤)로 집계됐다. 남한 2억9423만TOE 대비 30분의 1 규모다. 1인당 공급량은 0.40TOE로 남한 5.74TOE 대비 14분의 1 수준이다. 북한의 1차 에너지 공급 비중은 석탄(43.2%)ㆍ수력(32.3%) 순으로 조사됐다. 남한은 석유(40.1%)ㆍ석탄(27.7%)ㆍLNG(액화천연가스, 15.4%) 순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항만하역능력은 4157만 톤으로 남한 11억4080만 톤 대비 27분의 1에 머물렀다. 선박보유 톤수는 93만G/T(총톤수)로 남한 4460만G/T 대비 48분의 1에 불과했다.
북한의 식량작물 생산량은 482만 톤으로 주요 식량작물 중 쌀이 222만 톤(46.1%), 옥수수가 170만 톤(35.3%)을 차지했다. 우리는 쌀이 420만 톤(89.2%)에 달한 것과 대조적이다. 북한의 수산물 어획량은 101만 톤으로 남한 326만 톤 대비 3분의 1에 그쳤다.
북한의 석탄 생산량은 3106만 톤, 철광석 생산량은 53만 톤으로 남한보다 각각 18배, 12배 많았다. 조강 생산량은 122만 톤으로 남한 6858만 톤 대비 56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화학섬유 생산량은 2만3000톤으로 남한 136만8000톤 대비 59분의 1에 머물렀다. 화학비료 생산량은 60만4000톤으로 남한 206만5000톤 대비 3분의 1 수준이었다.
2016년 북한의 인구는 2490만 명으로 남한 5125만 명 대비 절반 규모다. 2015∼2020년 북한의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1.94명으로 나타났다. 남한의 1.33명 대비 0.61명이 많은 수준이다.
권태신 한국경제연구원장은 “단기적으로 남북한 경제교류가 더욱 활성화될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통일이라는 변수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며 “(독일의 경우) 통일 전 동독의 1인당 국민소득은 서독의 37%였지만, 현재 북한의 1인당 국민소득은 남한 대비 5%에도 미치지 못한다. 통일 당시 동독의 인구는 서독의 4분의 1에 그쳤지만, 북한 인구는 남한의 절반 정도로 상당하다”고 지적했다.
권 원장은 “한국의 생산성 수준은 통일 당시의 서독에 비해 낮다. 우리보다 경제가 성숙했고, 경제 격차가 크지 않았던 독일도 통일 후 큰 후유증에 시달렸다”면서 “아직까지 선진국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생산성을 높여서, 통일의 충격을 흡수할 경제의 기초 체력을 키워야 한다. 생산성 혁신이 우리 경제의 당면한 과제”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