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1분기 영업익 3971억… 전년비 4.8%↓"새로운 회계 기준 탓"

입력 2018-05-03 12: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유ㆍ무선’ 매출 감소했지만, 미디어 콘텐츠 매출은 늘어

KT가 정부의 통신비 인하 정책으로 인한 유ㆍ무선 사업 매출 감소로 1분기 실적이 악화됐다. 다만, 이는 바뀐 회계기준을 적용했기 때문이다. 기존 회계 기준을 적용하면 오히려 영업이익이 약 4%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KT는 연결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3971억 원으로 작년 같은 분기보다 4.8%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매출액은 5조7102억 원으로 1.8%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2241억 원으로 0.1% 줄었다

하지만 이같은 영업이익 감소는 이번 분기 부터 새로운 회계기준인 IFRS(국제회계기준) 15가 적용됐기 때문이다. IFRS15의 가장 큰 변화는 리베이트(판매 수수료) 등 마케팅 비용을 자산화하면서 고객 가입기간동안 분산해 적용한다는 점이다. IFRS10 기준으로는 마케팅 비용이 줄어들면 비용 감소로 나타나지만 IFRS15 기준으로는 지난해 많이 쓴 마케팅 비용이 이연되면서 비용 증가로 나타나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기존 회계기준으로 집계한 KT의 1분기 매출액은 5조8379억 원, 영업이익은 4351억 원으로 전년보다 오히려 4.0%, 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선 매출은 선택약정 할인율 상향 및 선택 증가, 취약계층 요금감면 등 부정적 요인으로 전년 동기 대비 0.9% 감소했다. 다만, 프리미엄 가족결합, 데이터 기반 부가서비스 등 차별화된 마케팅을 지속한 결과 5분기 연속 휴대폰 가입자 순증세를 이어갔다. 전분기 대비 휴대폰 가입자는 2014년 3분기 이후 최다인 6만5000명을 기록했다.

유선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3% 줄었다. 이번 분기에도 유선전화의 매출 하락세를 인터넷사업의 성장세가 상쇄하는 흐름이 계속됐다. 인터넷사업 매출은 2015년 2분기 이후 11분기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전년 동기 대비 4.1% 성장한 5167억 원을 기록했다.

KT 인터넷사업 호조에는 ‘기가 인터넷’ 가입자의 확대 때문이다. 올 1분기에도 약 30만 명이 순증했고, 3월 말 기준으로 KT 전체 인터넷 가입자의 49%에 해당하는 420만명 이상의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다.

미디어∙콘텐츠 매출은 IPTV 우량 가입자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8.1% 늘어난 5617억 원을 기록했다. 특히 별도기준 IPTV 매출은 3231억 원으로 전년 대비 15.4% 증가하며 미디어∙콘텐츠 분야 매출 성장세를 주도했다.

금융 매출은 중국 은련카드 매입액 감소에 따라 BC카드 매출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1.7% 감소한 8327억 원을 기록했다. 기타서비스 매출은 인터넷데이터센터(IDC) 및 보안사업 호조로 전년 동기 대비 0.6% 증가한 5370억 원을 올렸다. BC카드, 스카이라이프 등 그룹사는 영업이익에 900억 원 이상 기여했다.

KT는 혁신기술 기반의 서비스와 플랫폼사업에서 실적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 혁신기술 분야에서는 지난해 1월 말 출시 이후 15개월여 만에 가입자 80만을 달성한 인공지능(AI) 서비스 ‘기가지니’가 대표적이다. 기가지니는 인공지능 TV라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한 데 이어 기가지니 LTE, 무민키즈폰 등 새로운 AI 단말을 잇달아 내놓으며 좋은 반응을 얻었다. 올해 1분기 출시한 ‘기가지니2’가 호평을 받고 있는 가운데 최근 어린이 및 영어 관련 서비스를 대폭 강화했다.

또한 KT는 작년 하반기 ‘기가에너지 매니저’와 ‘기가아이즈’ 등 에너지 보안 영역에서 새로운 플랫폼 기반 서비스를 지속 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기반 확대는 물론 4차 산업혁명 기술을 기반으로 산업 혁신에 주력하고 있다.

이 외에도 독보적 5G 네트워크 기술과 차별화된 콘텐츠 역량을 기반으로 실감형 미디어(VR·AR)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GS리테일과 함께 ‘도심형 VR 테마파크’를 지난달 론칭했다. 하반기에는 언제 어디서든 PC나 스마트폰 없이 HMD 만으로 VR을 체험할 수 있는 ‘개인형 실감미디어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윤경근 KT CFO는 “올해는 핵심사업에서 지속적인 경쟁력 강화와 함께 혁신기술 기반 서비스와 플랫폼사업 분야에서 장기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다져 5G 시대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