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슈퍼파워’ 인도로 가는 길] ‘현찰 사랑’ 인도를 ‘현금 없는 사회’로…모디의 무한도전

입력 2018-05-03 13:4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디지털 결제 활성화 목표로 2016년 11월 화폐 개혁 단행…‘현금부족’ 대란에 印정부 ‘현금 없는 섬’ 실험 성과…휴대폰 보급 빠르게 늘며 확산 기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현금 없는 사회’가 잇따른 현금 부족 사태에 위기를 겪고 있다. 최근에는 현금인출기(ATM) 대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그러나 모디 총리는 현금 없는 사회 실현에 박차를 가한다.

최근 뉴욕타임스(NYT)는 인도가 18개월 만에 두 번째 현금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달 말 인도 전역의 ATM에 ‘현금 부족’ 메시지가 나타났다. 안드라프라데시, 텔랑가나, 구자라트주를 비롯해 8개 주의 ATM이 텅 비었고 은행은 현금 인출을 제한했다. 현금을 찾으려는 사람들이 은행 앞에 길게 줄지어 대기했다. 아룬 제틀리 인도 연방 재무장관은 “시중에 현금이 충분하며 일부 지역에서 일시적으로 과도한 현금 수요가 발생한 것”이라며 “이른 시일 안에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NYT는 반복되는 현금 부족 대란이 모디 정권을 송두리째 흔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인도의 현금 부족 사태는 2016년 11월 모디 총리가 지폐 대부분을 무효화는 화폐 개혁을 전격 실시한 후 처음 발생했다. 인도 정부는 기존 500루피(약 8045원), 1000루피 지폐 사용을 금지하고 새로운 500루피, 2000루피 화폐를 발행했다. 시중에 유통되던 현금의 86%를 쓰지 못하게 됐다. 모디 정부는 화폐 개혁을 하면서 디지털 결제가 그 부작용을 최소화할 것이라는 데 ‘베팅’했다.

구글 인도와 보스턴컨설팅그룹은 2016년 발표한 보고서에서 2020년 인도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약 5000억 달러(약 537조3000억 원) 상당의 거래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소비자 지불의 78%를 현금이 차지하는 나라에서 정부의 추진이 실질적인 효과를 발휘할지 의문을 제기했다. 경제 활동이 확대되면서 현금 수요가 더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화폐 개혁을 계기로 인도의 전자결제 산업이 성장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인도인의 현금 선호는 건재하다. 대부분의 인도인은 길거리 음식점에서부터 일용직에 이르기까지 현금으로 대부분의 경제생활을 한다. 특히 농촌 지역에서는 신용카드나 전자지갑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모디 정부는 현금 없는 사회가 ‘검은돈’을 단절할 수 있는 궁극적인 대책이라며 개혁을 계속 밀고 나가겠다는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모디 총리는 화폐 개혁 당시에도 지하경제 양성화를 위해 “500루피 이상 고액권 유통을 즉시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지난달 인도 최초로 ‘현금 없는 섬’으로 지정된 마니푸르주 카랑 섬은 모디 총리가 추구하는 바를 보여주고 있다. 주민에게 전자 결제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고 섬에는 결제 시스템을 위한 기기를 설치했다. 그 결과 현재 카랑 내 은행 계좌의 92%가 모바일 서비스와 연동된다. 70%는 인도 정부의 디지털 주민등록시스템 아드하르(Aadhaar)와 연결됐다. 카랑에서는 지난달 기준 전기요금의 97%가 디지털 방식으로 결제됐다. 20개월 전 78%에서 높아진 것이다. 모디 총리는 현지 관리를 치하하며 인도를 현금 없는 사회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재표명했다.

모니카 할란 인도 경제신문 민트 편집장은 “휴대폰 가격이 낮아지면서 노점상, 목수, 청소부 등에게도 디지털 결제가 퍼지고 있다”며 “이러한 도구 덕분에 그들은 부자와 엘리트처럼 지불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농촌 지역은 여전히 은행 서비스가 부족하다”면서 “가난한 사람들이 이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