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총소득(GNI) 5.1% 늘 때 피용자보수 4.4% 증가, 정부 급여증가율 6.7%에도 못미쳐
경제가 성장하고 소득도 늘었지만 이들 소득 대부분을 기업과 공무원이 가져간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봉급생활자들의 소득도 증가했지만 이들 호주머니에 들어간 만큼 늘지는 못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8/04/600/20180418104852_1205399_1000_460.jpg)
1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1730조5000억 원으로 전년대비 5.1% 증가했다. 반면 피용자보수는 767조6000억 원으로 전년비 4.4% 늘어나는데 그쳤다.
이에 따라 명목 GNI에서 차지하는 피용자보수 비중은 44.4%에 그쳤다. 이는 전년 44.7% 대비 0.3%포인트 감소한 것이다. 명목 GNI 대비 피용자보수는 2010년 42.3%를 저점으로 그동안 꾸준히 증가해 왔었다.
피용자보수란 월급과 상여급, 복리후생비, 퇴직급여 그리고 고용주가 부담하는 건강보험료와 고용보험료, 국민연금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통상 봉급생활자들의 급여를 뜻한다.
이 비중이 줄었다는 것은 늘어난 소득 중 기업이 가져간 비율이 더 많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기업영업잉여 증가율은 6.7%로 피용자보수 증가율을 웃돌았다. 이에 따라 노동소득 분배율은 63.0%로 전년(63.3%) 대비 0.3%포인트 하락했다.
한은 관계자는 “기업실적이 좋다보니 피용자보수 비중이 떨어진 것이다. 통상 임금인상은 경직적이라는 점에서 이 비중은 기업 영업이익이나 실적에 따라 등락한다”며 “피용자보수도 증가했다는 점에서 늘어난 소득을 기업만 가져갔다는 해석은 과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피용자보수 중 일반정부만 떼 놓고 보면 지난해 120조1000억 원으로 전년대비 6.7% 늘었다. 3년만에 전체 피용자보수 증가율을 웃돈 것이다.
이는 지난해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분야 취업자수가 5만2000명 늘어 전년대비 5.2% 증가해 전체 고용동향 증가세(31만7000명·1.2% 증가)를 웃돌았던데다 처우가 크게 개선됐기 때문이다. 실제 호봉상승률을 제외한 공무원 보수상승률을 의미하는 처우개선률은 작년 3.5%로 2016년 3.0% 보다 높았다.
또 다른 한은 관계자는 “지난해 일반정부에 속하는 공공비영리기업 채용이 확대된데다 정부의 처우개선 노력이 영향을 미쳤다”고 전했다.
한편 지난해 명목 국내총생산(GDP) 규모는 1730조4000억 원으로 전년보다 5.4% 늘어난 바 있다. 물가를 감안한 실질 GDP와 실질 GNI는 각각 3.1%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