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아닌 ‘은행·기업’이 주도하는 국내 그린본드

입력 2018-03-14 09:4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 그린본드가 최근 대세

한국의 그린본드 발행은 소버린(정부)이 아닌 개별 은행과 기업이 주도하고 있다는 데 폴란드, 인도네시아, 벨기에 등의 다른 국가의 패턴과 다르다.

현재 국내에선 현대캐피탈이 5억 달러, 국책은행인 수출입은행과 산업은행이 각각 4억 달러, 3억 달러 규모의 그린본드를 발행했다.

국책은행이 그린본드를 발행했지만, 이는 소버린 그린본드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소버린 그린본드는 정부(국가)가 주도해 발행하는 것으로 국책은행이 발행한 경우 일반 그린본드에 해당된다. 현재 기획재정부는 그린본드를 발행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 발행하는 그린본드는 규모가 작은 편이다. 국제금융센터 관계자는 “폴란드나 인도네시아, 벨기에의 경우 국가 차원에서 발행한 국채다 보니 한 번 발행할 때마다 몇십 억 달러 수준으로 발행한다”며 “국내의 경우 금융기관 위주로 발행해 규모가 상당히 작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금년 폴란드는 10억 유로, 인도네시아는 12억5000만 달러, 벨기에는 45억 유로를 발행했으며 홍콩이 역대 최대 규모인 128억 달러의 소버린 그린본드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기재부는 소버린 그린본드를 집중적으로 검토하지 않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그린본드는 민간기업들의 친환경적인 프로젝트나 경영에 투자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본래의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린본드 운영은 국가별로 다르다. 프랑스, 폴란드, 인도네시아 등 현재 6개국에서는 정부가 주체가 돼 소버린 그린본드를 발행하고 있지만, 중국의 경우 한국과 같이 민간에서 그린본드를 발행할 수 있게끔 유도하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소버린 그린본드를 발행한 국가들은 국가가 발행하는 게 맞다고 판단한 것에 기인한 것”이라며 “국내의 경우 수출입은행, 산업은행 등 정책을 위한 국책 금융기관이 있어 정부 차원으로 나서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민간 발행 규모가 미진하다면 정부가 나서서 ‘마중물’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금융업계의 한 관계자는 “그린본드가 유통시장에서 거래되려면 기준이 되는 채권이 충분히 발행되야 하는데, 정부가 그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소버린 그린본드 발행은 선진국을 포함 신흥 아시아 국가들 사이에서 확대되고 있다. 국제금융센터 측은 작년 기발행 국가들의 증액과 스웨덴, 홍콩, 말레이시아, 모로코, 케냐 등의 신규 소버린 그린본드 발행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이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잡히면서다. 국제금융센터 관계자는 “레버리지 측면에서도 소버린 그린본드 발행이 증가하고 있다”며 “소버린 그린본드는 투자자 다변화와 높은 청약 배수 등을 기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