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형권 차관 “물가 안정세 지속”…다만 외식 물가는 2.8%의 상승률

입력 2018-03-09 08:4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제3차 물가관계차관회의 개최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두번째 줄 오른쪽 두번째)이 9일 제3차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기획재정부)

올해 2월 외식과 농산 물가가 큰 폭으로 인상됐지만, 전체적인 소비자 물가는 안정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정부가 평가했다.

기획재정부는 고형권 기재부 1차관 주재로 9일 제3차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고 외식·가공식품 가격 동향 및 대응방안, 농산물 수급·가격 동향 및 대책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고 차관은 “1월 대비 한파에 따른 채소류 가격 상승, 설 연휴 여행비 상승 등으로 오름폭이 확대됐으나, 2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비 1.4% 상승해 물가안정목표 이내(2%)의 안정세가 지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물가 불안 우려가 제기되는 외식의 경우 전월에 이어 2.8%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외식물가는 2015년부터 2% 대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고 차관은 “최근 오름폭이 소폭 확대됐으나, 연초 가격 조정 등을 고려할 때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사업이 본격화하고 있어 가격 인상 부담이 완화되는 효과도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고 차관은 앞으로 소비자물가 안정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2월 물가 상승을 견인했던 농산물의 경우 기상여건 호전과 재배면적·출하량 증가 등으로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일 것이고 석유류 가격도 최근 국제유가 흐름을 볼 때 보함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인플레이션 심리 확산 가능성에는 지속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올 초부터 추진하고 있는 생활밀접 분야에 대한 범부처 차원의 물가 관리 노력을 지속할 방침이다. 특히 담합 등 시장질서 교란 행위에는 엄정 대응하고 소비자 단체와 연계해 심층 원가분석, 특별물가조사 등감시 활동을 연중 실시할 계획이다. 올 상반기에 김밥, 치긴 등 프랜차이즈 가격인상요인 분석도 한다.

공공요금도 자구노력을 통해 인상요인을 최대한 흡수하는 등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기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