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경제·산업 구조를 개편했을 경우 특별한 대책을 세우지 않았을 때보다 2030년 기준으로 취업자 수가 12만 명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92만 개의 일자리가 새로 생기고 80만 개의 일지라가 사려져 172만 명의 고용변화가 예상된다.
고용노동부는 8일 4차 산업혁명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16~2030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인력수요전망'을 보고했다.
이번 인력수요 전망은 올해 처음 실시하는 것으로 2017년 3월부터 국책·민간연구기관, 대학, 기업 등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관련 통계를 확충하고, 모형을 개발해 작성했다.
이번 전망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노동시장 변화 모습을 '기준전망'과 '혁신전망' 2가지로 나눠 관측했다.
기준전망은 4차 산업혁명을 포함한 국내외 환경변화에 대해 특별한 대책을 강구하지 않고 최근의 성장 추이가 그대로 지속되는 상황을 반영한 것이며, 혁신전망은 국내·외 환경변화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해 경제·산업구조 혁신을 통해 성장을 유도하는 상황을 가정한 것이다.
기준전망에 따르면 취업자 수는 2016년 현재 2623만5000명에서 2030년 2809만9000명으로 186만4000명 증가에 그친다. 혁신전망 취업자 수는 2623만5000명에서 2821만7000명으로 198만2000명 늘어난다.
전체 취업자 수는 초기에는 디지털화가 매우 빠르게 진행돼 취업자 수가 기준전망보다 낮으나, 2027년 이후부터는 성장률 효과로 혁신전망이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 되면서 직업별 고용 변화도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혁신전망에 따르면 인력수요는 정보·통신 전문가, 공학 전문가, 과학기술 전문가,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직과 의료보조직, 교육전문가, 문화·예술·스포츠 등 고용증가 직업군은 2030년까지 92만 명의 일자리가 늘어난다. 반면 매장 판매직, 운전·운송관련직, 청소경비를 비롯한 고용감소 직군에서는 80만 명가량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산업별로는 혁신전망이 기준전망에 비해 정보통신서비스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전기·전자·기계산업 등 4차 산업혁명 선도 사업을 비롯해 보건·복지서비스업, 문화·예술·스포츠 산업 등 고용증가 산업에서 취업자 수가 증가한다. 기술혁신에 따른 일자리 대체가 일어나는 자동차 외에 도·소매, 숙박·음식업, 운수, 공공행정 등 고용감소 산업은 일자리가 줄어들 전망이다.
경제성장(2017~2030년)의 경우 4차 산업혁명에 따른 혁신전망에서 연평균 2.9%로 지속돼 기준전망 연평균 2.5%에 비해 0.4%p 높을 것으로 관측된다.
혁신전망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새로운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 확대로 수출 경쟁력이 향상되고, 소득 증가에 따른 소비 확대 등으로 성장률 둔화 속도는 큰 폭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반면 기준전망은 저출산·고령화 가속, 생산성 둔화 등 공급여건 악화와 국가 간 경쟁 심화로 수출여건이 악화됨에 따라 성장률이 점차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부는 이 같은 전망을 토대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민간투자 확대를 위한 규제개혁, 중소기업 연구개발 역량 강화, 벤처기업 지원 확대를 제안했다.
고용부 관계자는 “인력수요 증가에 대비한 전문인력 양성, 사회안전망 확대 외에도 일자리 대체 등 제반 문제를 논의·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합의 기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