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아듀 MWC 2018, 모바일 대전 아닌 미래 생활 혁신

입력 2018-03-02 11:23수정 2018-03-02 13: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MWC 2018에서 퀄컴이 선보인 커넥티드카. 좌우 사이드미러가 없다. 대신 카메라가 영상을 촬영해 실시간으로 운전자에게 전달한다. 사진=송영록 기자 syr@
‘더 나은 미래 창조(Creating a Better Future)’란 주제에 딱 맞게 이번 MWC를 관동한 화두는 ‘5G 이동통신’과 이를 통한 ‘더 편리한 미래 생활 만들기’였다.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 ‘MWC(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18’이 1일(현지시각) 막을 내렸다.

지난 2014년 전시장을 찾았을 땐 단말기 제조사들이 웨어러블 디바이스 대전을 펼치고, 통신사들은 4G 기술 경쟁을 벌였다. 스마트카도 모습을 보이긴 했지만, 아직 걸음마 단계에 불과했다. 4년 만에 흐름은 싹 바뀌었다. 첫 표준화를 마치고 상용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전시장 곳곳이 5G로 가득 찼다. 5G 기반의 커넥티드카와 로봇, 드론 등도 전시장 곳곳에서 볼 수 있었다.

전시장에서 만난 업계 전문가는 “기존 3G에서 4G로 가는 게 단순히 인터넷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이었다면, 5G는 양상이 다르다”며 “모바일 속도가 혁신적으로 빨라지고, AI(인공지능)가 붙으면서 생활 전반에 큰 변화를 줄 수 있다. 어린 시절 SF(공상과학) 영화에서 꿈꿨던 일이 현실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 중심에는 자동차가 있다.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지연속도를 최대한 줄이는 기술은 매우 중요하다. 갑작스럽게 브레이크를 밟아야 하는 경우, 명령이 떨어져 수행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거의 제로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초저지연성’이라 부른다.

▲사람을 따라 움직이는 로봇. 5G 기술의 초저지연성을 보여준다.(사진=송영록 기자 syr@)
세계 주요 통신사들은 이번 MWC에서 5G의 초저지연을 보여주기 위한 퍼포먼스를 마련했다. 일본의 통신사 NTT 도코모는 로봇이 사람의 움직임을 인식해 실시간으로 재연하는 기술을 선보였다. 사람이 팔을 흔들면 로봇이 사람의 동작을 기기의 센서를 통해 인식하고 실시간으로 동작을 따라했다. 이 로봇은 사람 움직임을 따라 종이 위에 붓으로 5G를 의미하는 한자 ‘五’를 쓰기도 했다.

퀄컴이 전시장에 마련한 커넥티드카에는 좌우 사이드미러가 없다. 대신 초소형 카메라 6개가 차량 주변 360도를 촬영한다. 이 영상은 실시간으로 운전자에게 전달된다.

모바일 업계도 혁신 방향은 같다. 기존에 기술 선도 이미지를 주기 위해 노력했다면, 이제는 초슬로우 모션 카메라, AI 카메라 등 사용자들의 편리한 생활에 초점을 맞췄다. LG전자가 선보인 AI 카메라는 미리 학습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에게 가장 좋은 촬영모드를 제안한다. 기존에 탑재됐던 다양한 촬영모드를 소비자들이 잘 활용하지 않는 데서 착안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