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기술형 기업 '찬밥 대우' 달라지나

입력 2008-03-13 09: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담보대출 관행 벗고 창업대출 및 기술보증 확대

은행권이 최근 뿌리깊은 담보대출 관행에서 벗어나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에 대한 신용대출을 확대하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중소기업에게 은행의 '문턱'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여전히 높기만 하다. 특히 업력이 짧은 기술혁신형 기업이나 창업기업의 경우 은행 대출은 말 그대로 '하늘의 별따기'다.

대부분 금융기관들이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부동산 담보대출에 의존하거나 단순한 재무성과를 중심으로 기업의 신용평가를 단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맞춤형 中企 대출상품 속속 출시

그러나 최근 일부 은행들이 기업의 기술력과 성장잠재력에 대한 평가를 중시해 맞춤형 신용대출 상품을 속속 출시하고 있다.

기업은행은 이달 초 신용이 낮더라도 성장 잠재력이 큰 중소기업에 대해 최고 5억원 한도의 '중소골드기업 대출' 상품을 출시했다.

특히 마이너스통장인 한도대출 형태로 기업의 운전자금 운용 편의성을 한층 높였으며, 수시로 대출과 상환이 가능해 기업의 금융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게 했다.

또한 지난 12일 미래 성장동력산업 분야의 중소기업에 연구개발(R&D)용 자금으로 최저 연 3%의 저금리로 업체당 2억원(총 500억원)을 지원하는 '리더비즈론'을 출시했다.

기업은행 여신기획부 권용대 팀장은 "사업성 검증이 되지 않은 기술개발 단계의 사업에 대해 기술평가서만으로 최저 3%대의 신용대출 상품을 내놓기는 이번이 처음"이라며 "기술력있는 중소기업들의 연구개발이 보다 활성화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신한은행도 최근 창업형 중소기업에 최저 6%대의 금리로 최대 5억원까지 지원하는 신용대출 상품을 출시했다.

또한 하이테크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기술평가서를 연계한 신용대출도 더욱 확대할 방침이다.

◆금융권 기술금융 확산 '기대'

그러나 이같은 기술금융의 확대는 아직 일부 '뜻있는' 은행에 국한되어 있는 게 사실이다. 유망 중소기업 육성이나 벤처기업을 발굴하기 위해서는 금융권의 인식 전환과 기술평가 시스템의 도입이 절실하기만 하다.

기술보증기금의 한 관계자는 "기술금융이 보다 확산되기 위해서는 기업의 기술력과 성장잠재력을 중시하는 금융권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기술평가인증서를 연계한 신용대출은 리스크에 대한 부담이 큰 만큼 은행장을 비롯한 임원진의 철학과 방침이 중요하게 작용할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실제로 우리은행의 경우 지난 2006년 은행장의 의지를 반영해 기술보증 신용대출 상품인 '하이테크론'을 전격 출시하고 1321억원을 지원한 바 있다. 그러나 은행장이 바뀐 지난해에는 겨우 253억원을 공급하는 데 그쳤다.

더구나 다른 은행들은 대부분 창업 및 벤처기업의 높은 리스크를 우려해 신용상품을 출시하는 것 자체를 꺼리고 있는 실정이어서 그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다행이 새정부가 '기술금융 활성화'를 가 국정과제로 선정하고 일부 국책은행을 중심으로 기술금융 확산에 적극 나서고 있어 향후 은행권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을 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