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동계올림픽] 컬링 선수들 "얍" "헐" 소리치는 의미는?… 컬링 관람 "알아두세요"

(연합뉴스)

개회식에 하루 앞서 진행되는 컬링 믹스더블은 기존의 남성 4인조, 여성 4인조 방식에서 올림픽에 처음 도입되는 혼성 2인조 경기다.

믹스더블에 출전하는 선수들은 하나같이 기존의 종목보다 믹스더블이 더 재밌고 역동적이라고 평하고 있다. 이런 믹스더블 경기가 진행되는 8일, 안방에서 지켜보는 시청자들이 알아 둘 것들이 있다.

우선 4인조 컬링이 각 엔드에 8개의 스톤을 던지는 것과 달리 믹스더블의 경우 6개의 스톤 만을 던진다. 그마저도 1개는 시합 전에 미리 배치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5개를 던지게 된다. 한 명이 1, 5번째 스톤을 던지고 다른 한 명이 2~4번째 스톤을 책임지는데 엔드가 끝날 때마다 이 순서는 변경 가능하다. 우리 대표팀의 경우 장혜지 선수가 첫 스톤을 던진다.

10엔드가 아닌 8엔드가 끝이기 때문에 경기 시간도 짧다는 것도 경기를 보면서 알아 두어야 할 점이다. 점수 차가 박빙일 경우 기존 경기와 다르게 7엔드 이후 더 몰입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믹스더블은 한 번에 3~4점도 뒤집어지는 만큼 시청자들의 집중을 더 필요로하고 있다.

경기 중에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스킵의 목소리다. 투구자의 손에서 떠난 스톤이 스위퍼의 스위핑을 통해 나아갈 때 스킵은 속도와 방향을 소리내 주문한다. 흔히 스킵이 내는 소리 중에 `얍'은 스위퍼들에게 스위핑을 시작하라는 의미로 통한다. `헐'은 영어로 허리(Hurry)의 줄임말로 스위핑을 더 빨리 하라는 의미다. `업'은 브룸(얼음 바닥을 문지르는 브러시)을 들고 스위핑을 멈춘 채 기다리라는 구호로 이때 스위퍼들은 동작을 멈춰야 한다. 마지막으로 스킵은 `워'라는 구호를 통해 해당 순서가 종료됐음을 알린다.

특히 4인조의 경우 스킵과 스위퍼의 역할이 특정돼 있어 더 많은 주문이 나오곤 한다. 연맹 관계자에 따르면 믹스더블의 경우 두 명으로만 구성돼 있어 스킵의 개념이 따로 있지 않고 선수들이 직접 경기를 풀어간다는 차이가 있다.

스톤은 워낙 예민하게 움직이기 때문에 선수들은 실수를 잘 다스려야 한다. 실수가 나와도 흔들리지 않는 평정심을 갖춰야 승리 가능성이 커진다. 선수들은 경기 중 한 번 정신이 흔들리면 이를 극복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한다. 한 명이 흔들리면 팀 전체가 동요할 수 있기 때문에 팀원들은 스킵의 소리에 집중해야 한다. 시청자들 역시 상황마다 변하는 스킵의 주문에 귀기울인다면 경기를 함께 읽어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