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증시 3000-1000시대] 센터장 6인 진단…코스피 ‘3000’ 열릴까①

입력 2018-01-02 11: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17년은 ‘사상 최고’라는 수식어로 증권시장을 화려하게 장식한 한 해였다. 올해 역시 쾌조의 상승 행진을 이어나갈 수 있을지, 그 어느 때보다 관심이 뜨겁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코스피지수가 2800~2900선까지 무난하게 오를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를 싣고 있다. 하지만, 우상향의 대세적 흐름 속에서 2018년이 ‘코스피 3000시대’를 개막하는 첫해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만만치 않다.

본지는 국내 대표 증권사 리서치센터장과의 지상 좌담회를 통해 무술년 한국 증시를 전망해 본다. 6명의 센터장은 2018년 코스피, 코스닥지수 전망과 주목해야 할 업종, 그리고 한 해를 관통할 증시 키워드를 상세히 제시했다. 투자자라면 놓치지 말고 주목하자.

◇구용욱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장 “작년보다 눈높이 낮춰라… 반도체 가장 우려”

2018년 증시 환경은 지난해에 비해 녹록지 않다. 지난해는 인플레이션과 금리 상승으로 관련 업종 기업들의 이익과 주가가 많이 올랐다. 특히 반도체 가격 급등은 코스피지수 상승의 핵심 배경으로 작용했다.

하지만 올해는 작년과 같은 반도체 가격 상승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더 나아가 업황이 꺾일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온다. 지난해 코스피는 2500선을 돌파하며 20% 이상 뛰었지만, 올해는 지난해보다 기대치를 낮춰야 한다. 예상 코스피 기대 수익률은 10% 이하다.

반도체 업황 우려 외에도 올해 증시 상승의 발목을 잡을 요인은 산재한다. 우선, 중국의 제조업이 가파르게 성장하면서 한국과 중국의 경쟁이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현 시점에서 제조업은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다.

국내 민간 소비가 부진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 역시 약점이다. 한국은 소비 없는 경기 회복이 진행되고 있다. 문제는 고용시장 회복이 먼저 이뤄져야 민간소비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개선하려면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성과를 거둬야 한다. 만일 이 같은 우려 요인을 타개한다면, 국내 증시의 레벨 업을 기대할 수 있다.

코스닥시장은 바이오 관련 주식들이 다소 가파른 속도로 올랐던 부분에 대한 조정 기간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 최근 코스닥 기업들의 이익 증가율 예상치가 많이 높아졌지만, 이를 신뢰하기는 어렵다. 올해 코스닥은 현 수준에서 박스권 장세를 펼칠 가능성이 크다.

올해 우리 증시는 △반도체 업황 △글로벌 통화 정책 △한국 정부의 경제 정책 세 가지 요소가 좌우할 것으로 판단한다. 먼저, 반도체 업황은 증시를 판가름할 가장 중요한 변수다. 글로벌 경기 여건은 그런 대로 양호한 편이라 전반적인 기업 이익 증가세가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반도체 업종은 수요가 증가하더라도 가격이 내려갈 위험을 배제할 수 없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과거보다 느리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한다. 글로벌 통화 정책의 향방을 지켜보는 긴장감은 존재하겠지만, 미국을 포함해 과감한 긴축 행보를 보이는 국가는 없을 것으로 전망돼 위험 요인로는 영향력이 그리 크지 않을 것이다.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 효과는 일자리 창출과 중소기업 육성이란 두 가지 각도에서 주시해야 한다. 정책이 성과를 낸다면 내수 성장이 관련 기업들의 주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코스닥시장 활성화에도 우호적일 수 있다.

우리 증시의 부침이 예상되는 만큼, 해외로 눈을 돌리는 것도 유효한 투자 전략이다.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기업이 많은 미국과 중국을 투자 유망 국가로 꼽는다. 또한, 크레딧 리스크 발생 가능성이 작은 브라질과 멕시코, 인도 등 고금리 신흥국 채권에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서영호 KB증권 리서치센터장 “5G·자율주행 등 신성장산업 주목하라”

2018년 무술년 코스피가 신고가 랠리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코스피 상단으로는 3060포인트를 제시하는데, 신흥국 중에서도 특히 한국처럼 제조업 특화 국가들에 우호적인 글로벌 매크로 환경이 조성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증시를 둘러싼 국외 여건을 좋게 보는 첫 번째 근거는 금리 안정화에 따른 유동성 확대 흐름이다. 미국이 금리인상 과정에서 완급 조절에 나서면서 장기 금리가 하향 안정됨에 따라 수급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트럼프 정부가 미국 경상수지 개선에 나서면서 달러 약세가 나타난 것도 긍정적이다. 과거 달러 약세 사이클에서는 선진국보다 신흥국 증시가 강세를 보인 바 있다. 또 중국 위안화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도 신흥국 강세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신호로 풀이된다.

올해는 G2인 미국과 중국의 역전 현상이 발생하는 의미 있는 해로 관측된다. 중국이 소비하고 미국이 투자하는 시대가 열리게 된다. 과거 2000년대에는 미국이 소비하고 중국이 투자했던 사이클과 정반대의 행보다. 미국은 인프라 투자를 늘리고 신성장산업 투자를 확대할 것이다. 중국은 소비와 중산층 안정대책으로 시장을 추가로 개방하고 중산층 전용 주택 공급에 나설 방침이다.

무시할 수 없는 위험 요인도 상존한다. 일례로 시장에 잠재돼 있는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을 들 수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 기반이 약화됨에 따라 11월 미국 중간 선거에서의 공화당 승리 가능성도 불투명해졌다. 국내에서는 건설경기 둔화세가 문제다. 새 정부의 규제 정책과 시중 금리 상승이 심화하면 투자 심리가 위축되고 지가가 조정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팽배해졌다. 이는 민간소비 등 내수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코스닥지수의 상단으로는 950포인트를 예상해 본다. 제약·바이오나 소프트웨어 등 유망 산업들의 증시 비중이 높은 데다, 매출액 등 성장지표도 양호하다. 국민연금 등 4대 연기금의 연내 중소형주 투자 확대가 기정 사실화된 만큼 코스닥 소외 현상도 해소될 가능성이 높다. 우리 정부의 5대 신산업 육성정책도 기술주의 밸류에이션을 끌어올리는 요인이다.

작년 증시에서는 IT주와 헬스케어주가 높은 주가 상승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올해도 같은 흐름이 이어질 것이란 보장은 없다. 업종을 전망하는 자리에서 과거 주가 흐름에 기대 편협한 시각을 가져가는 오류는 반드시 피해야 한다. 신성장산업과 관련된 5G·자율주행차·사물인터넷(IoT)·바이오·신약·신재생에너지 업종이 유망할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주는 대체로 긍정적 시각을 유지하나, 주가 상승 탄력은 작년 대비 둔화할 소지가 높다. 이 밖에도 부동산 경기 개선과 소비 확대와 연관되는 정유·철강·기계 업종이 유망하다.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기술주들인 헬스케어·소프트웨어 업종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채권 부문에선 경기 개선 국면인 만큼 국채보다 크레딧 채권이 나은 선택일 것이다.

◇이창목 NH투자증권 센터장 “코스피 고점 2850…IT가 여전히 선봉”

지난해 글로벌 경기는 과잉 공급과 수요 부진 상황에서 벗어나는 데 성공했다. 석유수출기구(OPEC) 산유국과 중국의 공급 축소 노력은 과잉 공급을 줄이는 데 기여했다. 특히 신흥국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느린 긴축 정책과 저물가 환경으로 금리인하 등 경기부양에 나설 수 있었다. 신흥국 경기의 빠른 회복으로 지난해 하반기 경기는 기대보다 높은 성장세를 시현했다.

2018년 무술년 한국 증시는 2850선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한다. 선진국과 신흥국의 경기가 동반 회복하고, 한국 수출과 상장기업의 실적 개선세가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실제 컨센서스가 존재하는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한 코스피 영업이익은 지난해 198조1000억 원에서 올해 224조5000억 원으로 증가할 것이다. 같은 기간 순이익은 144조5000억 원에서 161조9000억 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자산가치와 이익 수준을 고려한 지수 하단은 2350선이다.

올해 투자환경은 상반기에 더 우호적이다.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과 자산 축소 영향이 제한적이고, 글로벌 경기회복 효과도 지속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하반기는 변수가 증가할 전망이다. 글로벌 경기의 순환 모멘텀이 약화하고, 누적된 인플레이션 부담과 함께 선진국 통화정책의 불확실성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상하이A 증시 비중 확대에 따른 5월, 8월 전후 외국인의 기계적인 비중 축소로 물량 출회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올해 한국 증시의 주도주는 여전히 IT 업종이다. 과거 한국 증시의 주도는 경제 패러다임 변화를 반영해 수년간 유지돼 왔다. 반도체 주식의 강세는 4차 산업혁명과 중국의 IT 굴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승 동력은 올해도 유효할 것이다. 반도체 주식이 2년 연속 급등하며 가격에 대한 부담이 높아졌지만, 랠리를 이끄는 주도주는 바뀌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대형 수출주도 유망하다.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미국 증시는 수출주가 이끌고 있다. 올해 글로벌 경기 회복세는 선진국에서 신흥국으로 확산하고, 신흥국의 경기 모멘텀이 강하다는 점에서 수출주의 실적 개선세가 확대될 것이다. 따라서 신흥국 경기 회복으로 이미 수출이 크게 증가한 기계·화학 업종 등 수출주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더불어 올해 코스닥지수 목표치는 900선으로 전망한다. 코스닥시장은 지난해 말 차익 실현 이후 올해 재상승할 것으로 본다. 이는 △과거 정책 수혜주는 적어도 1~2년간 상승했다는 점 △코스닥은 집권 2년차에 더 강했다는 점 △중소형주 강세에 따른 상대적 어닝 모멘텀의 확대 등이 주요 근거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