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스쿨밀크> 겨울호에 공개, 과학으로 입증된 우유의 건강효과도 수록
![](https://img.etoday.co.kr/pto_db/2017/12/600/20171220095531_1166251_427_298.jpg)
정말 멸균우유는 영양소가 파괴된 우유일까? 낙농진흥회가 발간하는 <스쿨밀크> 겨울호에서는 일반인들이 잘못 알고 있는 멸균 우유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상세히 밝혔다.
멸균 우유와 일반 우유의 가장 큰 차이점은 이름 그대로 살균법에서 찾을 수 있다. 우유의 살균 과정은 크게 저온장시간살균법, 고온단시간살균법, 초고온순간살균법 등으로 나뉘는데, 멸균우유는 초고온순간살균법보다 더 고온인 135~150℃에서 2~5초간 멸균처리를 거친다. 살균 효과를 끌어올려 무균에 가깝도록 처리하기 때문에 멸균우유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렇다면 멸균 과정에서 몸에 좋은 영양소도 파괴되는 것일까? <스쿨밀크> 겨울호에 따르면, 이러한 걱정은 기우에 불과하다. 멸균 과정을 거치더라도 칼슘 등 우유의 주 영양소는 파괴되지 않는다. 멸균우유는 일반우유와 제조공정이 다를 뿐, 보존료 등이 전혀 첨가되지 않고, 영양의 차이도 없다는 뜻이다.
오히려 멸균과정에서 병원성, 비 병원성을 포함한 모든 미생물을 모두 사멸하는 방식이므로 부패 속도가 늦고 실온에서도 보관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또한, 알루미늄박이 부착된 테트라팩을 사용해 빛과 공기를 차단하고, 무균상태로 충전돼 오랜 시간 보관할 수 있어, 우유를 자주 사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풍미나 유익균의 함량은 다소 차이가 생길 수 있고, 개봉 후에는 일반 우유와 마찬가지로 냉장 보관 후 최대한 빨리 소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멸균우유와 일반우유의 차이점을 상세하게 설명한 웹진 <스쿨밀크> 겨울호에는 과학적으로 입증된 우유의 건강효과와 우유팩을 새활용(업사이클)한 제품 ‘밀키프로젝트’에 관한 이야기, 겨울철 독감 대비책, 따뜻한 온천여행 등 다양한 콘텐츠가 수록돼 있다.
웹진 <스쿨밀크>는 아이러브밀크 홈페이지와 낙농진흥회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