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새차증후군 측정 관리 '국제 표준'으로 인정

입력 2017-11-20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토부 메뉴얼 국제기준치로 최종 채택…국산차 국제 경쟁력 강화에 도움

우리나라가 주도해온 신차 실내 공기 측정기준안이 국제 표준으로 최종 채택됐다. 향후 국산차의 수출경쟁력이 확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교통부(국토부)는 제173차 '유엔 유럽경제위원회 자동차 기준 국제조화 회의(UNECE WP.29)'에서 우리나라가 주도해온 신차 실내 공기질 측정 기준이 '국제표준'으로 최종 채택됐다고 20일 밝혔다.

한국은 '자동차 실내 공기질 전문가기술회의'의 의장국으로 각국 대표단과 세계자동차제작사협회 등과 함께 국제기준 제정 작업을 주도해 왔다. 전문가기술회의는 자동차 실내 공기질(Vehicle Interior Air Quality)과 관련한 국제기준 제정 논의를 위해 2015년 공식 결성된 전문가기술회의다.

이번에 제정된 국제표준은 새차증후군을 유발하는 자동차 내장재의 유해물질에 대해 나라마다 다른 측정방법과 절차 등을 통일했다는데 의미가 크다. 새차증후군이란 신차의 실내내장재(시트, 천장재, 바닥재 등)에서 방출되는 벤젠 등 휘발성유기화합물(VOCs)로 인해 두통, 눈․피부의 따가움 등을 느끼는 현상을 말한다.

새 국제표준은 자동차 실내 공기질 평가와 관리 때 인체 유해물질 사용을 자제하고, 친환경 소재 사용을 장려하도록 하는 내용과 유해물질 샘플링, 분석 방법 등을 포함하고 있다.

현재 신차 실내 공기질 관리기준은 나라마다 측정방법이 서로 다른 상태다. 그러나 이번 국제표준 제정으로 측정방법이 통일되면서 시험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됐다. 나아가 상호 호환이 가능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게 됐다.

국토부는 우리의 기준이 국제표준으로 최종 채택됨에 따라 향후 국내기준인 '신규제작자동차 실내 공기질 관리기준' 규정을 개정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국제표준 제정은 우리나라의 위상을 제고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운전환경을 제공할 것"이라며 "자동차 업계의 국제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미지 출처=유엘닷컴)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