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 공청회] 농민들 단상 점거해 ‘파행’…패널들 퇴장

입력 2017-11-10 11:3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농민 죽이는 한미 FTA 폐기하라" 촉구

농민들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협상에 반발하면서 10일 한미 FTA 공청회가 파행됐다.

전국농민회총연맹, 민주노총, 한국진보연대 등 50여개 시민사회 단체들로 구성된 FTA대응 대책위원회는 이날 오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으로 열리는 한미 FTA 공청회 회의장에서 한미 FTA를 폐기하라며 단상을 점거했다. 계란을 던지며 격하게 반발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종합 토론에 참석한 패널들이 발표를 하지 못하고 퇴장했다.

오전 9시 30분에 시작된 공청회는 2시간이 지나도록 파행돼 진행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농민들은 공청회장에서 "농ㆍ축산업 죽이는 협정을 폐기하라"며 "공청회를 중단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 농촌경제연구원 등이 '한미 FTA 개정 관련 경제적 타당성 검토결과'를 발표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등은 낮은 수준으로 한미 FTA가 개정될 경우 실질 GDP(국내총생산)가 0.0004%가 추가로 증가해 0.12억 달러의 소비자후생 효과가 있고, 높은 수준으로 개정될 경우 실질GDP는 0.0007%, 소비자후생은 0.24억달러의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축산관련협의회와 FTA 대응 대책위 등은 “거짓말 하지마", "농축산업 죽이는 한미 FTA폐기하라" 등을 외치며 거세게 반발했다.

또한 주최측인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농업 피해를 발표하지 않고, 농업 관련 전문가로 농촌경제연구원만 패널로 참석시킨 것을 두고 제대로 분석해 다시 공청회를 열자고 주장했다.

산업부는 미국과의 협상 전략이 미리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민감 품목인 농축산물 시장 관련 개방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농민단체들은 공청회 무산 선언을 하라고 촉구했지만, 산업부는 묵묵부답인 상황이어서 공청회가 언제 재개될지 불투명한 실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공청회 재개를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