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원 한국거래소 이사장 취임... “성장성 중심으로 코스닥 상장요건 바꿀 것”

입력 2017-11-03 11: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제공=한국거래소)

정지원 신임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취임사를 통해 성장성 중심의 코스닥 상장요건 개편과 인공지능(AI) 시장감시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밝혔다.

3일 한국거래소는 부산 한국거래소 본사(BIFC)에서 정지원 제6대 한국거래소 신임 이사장의 취임식을 개최했다.

정 이사장은 이 자리에서 자본시장의 혁신 성장은 물론, 일자리 창출과 국민소득 증대를 견인하기 위해 코스닥 상장요건을 미래 성장성 중심으로 개편하겠다고 선언했다. 정 이사장은 “코스닥 시장을 창의와 혁신이 살아있는 모험자본 조달의 산실로 만들겠다”며 “창업ㆍ중소기업 통합지원체계인 ‘팜 시스템’(Farm System)을 구축해 스케일업(scale-up)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코스닥 시장에 첨단 기술기업을 유치,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들의 시장참여 확대를 유도할 계획이다. 저금리ㆍ고령화 시대에 국민 재산 증식을 위해 상장지수펀드(ETF)와 상장지수채권(ETN) 등 중위험ㆍ중수익 상품의 상장을 촉진하겠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자본시장의 신뢰 제고를 위해서는 차세대 시장감시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그는 “최근 우리 자본시장은 불공정거래 지능화와 회계부정, 미공개 정보 이용 등으로 신뢰도가 낮아진 상황”이라며 “빅데이터와 AI 등 신기술을 탑재한 차세대 시장감시 시스템을 구축해 예방 중심의 감시 패러다임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공매도와 관련해 정 이사장은 “공매도의 순기능은 적극적으로 알리되, 이를 악용한 불공정 거래는 철저하고 엄중하게 조치할 것”이라며 “정부와 협력해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또 올해 처음 도입된 원칙준수ㆍ예외설명 방식(Complay or Explain)의 기업지배구조 자율공시에 많은 기업들이 참여하도록 하고, 스튜어드십 코드가 시장에 조기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정 이사장은 한국거래소의 경쟁력을 국제적인 수준으로 높이는 방안도 내놨다. 그는 “증권 시장은 주문유형 다양화, 시장조성 강화 및 차익거래 활성화 등을 통해 유동성을 확대할 것”이라며 “파생상품 시장은 금리ㆍ외환파생상품 확충을 통해 기관투자자 중심의 위험관리 시장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정 이사장은 “변화와 혁신을 바탕으로 활력 있고 역동적인 조직을 만들 것”이라며 “격의 없는 소통 및 일과 삶의 균형이 있는 조직문화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한국거래소 조직운영 방향에

대한 소신을 피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