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국감]상가임대료 상승, 성수동>홍대>대구 방천시장>인천 차이나타운

입력 2017-10-31 10:3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박광온 “가로수길, 삼청동길, 북촌은 임대료 하락세로”

올 상반기 동안 서울 성수동 카페거리에 위치한 상가 임대료가 4.18%나 오른 것으로 확인됐다. 상권이 뜨면서 임대료가 치솟아 기존 자영업자들이 밀려나게 된다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뒷받침하는 수치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광온 의원이 31일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이 의심되는 지역의 임대료를 분석한 결과, 성수동 까페거리의 상승률은 전국 소규모 상가 평균 임대료 상승률(0.1%) 및 서울지역 평균(0.3%)을 한참 웃돌았다.

이어 서울 홍대(3.02%), 대구 방천시장(2.49%), 인천 차이나타운(1.58%)도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서울 연남동(0.7%), 인천 신포 문화의거리(0.5%), 서울 서촌(0.48%) 역시 평균치보다 높았다.

이에 비해 대표적인 젠트리피케이션 상권으로 인식되던 서울 가로수길, 삼청동길, 북촌은 하락세로, 각각 –2.58%, -2.54%, -1.89% 떨어졌다. 서울 경리단길은 2분기 연속 임대료 변동이 없었다.

월 임대료를 살펴보면, 전국 소규모 상가 평균 월세는 3.3㎡당 7만620원이었지만, 서울은 이보다 두배 이상 높은 평균 17만2920원, 서울 강남의 경우 18만5790원으로 집계됐다.

서울의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지역 상권의 평균 임대료는 전국 평균보다 3배 이상 높은 3.3㎡당 23만4498원으로, 서울 강남보다도 5만 원 가량 높았다. 가로수길 평균 임대료는 41만6856원, 삼청동길 29만5449원, 북촌 24만735원 등이었다.

한편, 박 의원은 한국감정원의 ‘상권별 임대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5년부터 올 상반기까지 최근 2년간 부산 지역 상권의 임대료 상승도 크게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부산 남포동은 전국에서 상가 임대료가 가장 크게 오른 상권으로, 이 기간 동안 남포동의 임대료는 7.2% 올라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어 부산 온천장 6.7%, 부산 해운대 5.2%, 건대입구 4.8%, 홍대합정 4.7%, 수원 인계동 4.7%, 서울 신림역 4.6% 순으로 집계됐다.

다만 박광온 의원은 “감정원의 조사는 전국의 221개 상권을 대상으로 임대 현황을 파악하지만 기존에 형성된 핵심상권을 중심으로 조사하다 보니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신흥상권이 조사대상에서 제외돼 있다”며 “현재 확산되고 있는 젠트리피케이션 현황을 관계부처들이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해 결국 피해는 상권을 일군 자영업자가, 이익은 건물주에게만 가고 있다”며 “지역상권 상생 및 활성화에 관한 법률의 제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