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스타트업 창업 나서는 중소기업 사장님들

입력 2017-10-23 10:3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효점 산업2부 기자

“사업을 확장하려는데, 저희가 담보로 잡힐 공장이 있는 제조업도 아니고 대출이 너무 어렵더라고요. 그래서 스타트업을 창업해 보려고 해요.”

잘나가는 관광서비스업 K사 대표의 말이다. K사처럼 틈새시장에서 활약하는 고부가가치 알짜 기업이 대출받기 쉽지 않다고? 첫 귀에 이해가 가지 않았다. 대표 M 씨가 말을 이었다. “요즘엔 스타트업 한다고 하면 벤처캐피털들이 5억, 10억 원씩은 투자해 주잖아요.”

M 씨뿐만 아니라 최근 기업인들을 만나면 새 정부와 중소벤처기업부의 정책이 지나치게 ‘창업’에 방점을 두고 있는 게 아니냐는 목소리를 심심찮게 들을 수 있다. 기업인 A 씨는 “스타트업도 좋지만, 국가 경제에 실제로 도움이 되는 기업은 기술과 하드웨어에 기반을 갖고 있는 제조업”이라고 지적했다. 기업인 C 씨는 “질 좋은 일자리를 대규모로 창출할 수 있는 것은 스타트업이 아니라 스케일업(Scale-up) 단계의 혁신 기업”이라고 토로했다.

대통령이 창업 국가를 일궈 보겠다고 하자 각 부처와 산하단체들, 이익단체들은 저마다 창업기업 지원책을 발표하고 사업예산을 배분해 내놓고 있다. 정부는 투자 시장을 확충한다며 하반기 추경을 통해 모태펀드에 8600억 원을 출자, 연내 1조4000여억 원의 벤처펀드를 추가 조성하겠다고 했다.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은 청년창업펀드로, 약 5500억 원 규모가 조성될 예정이다. 한 벤처캐피털(VC)업계 심사역은 “이제 스타트업 대표가 투자를 받기 위해 VC를 찾아다니는 게 아니라, 우리들이 돈을 싸들고 젊은 대표들을 찾아다닌다”고 귀띔했다.

정책금융과 함께 투자시장도 확대되고 있지만, M 씨처럼 수혜를 받기는커녕 대출조차 어려운 혁신 기업들이 여전히 생겨나는 점은 아이러니하다. 혁신창업 생태계는 7년 미만의 초기 창업기업들에 시장의 원칙을 뛰어넘는 특혜를 주는 정부발 벤처붐만으로는 완성될 수 없다. 미래가치가 있는 기업이라면 누구나 함께 누릴 수 있는 원칙과 인프라를 세우고, 정책의 사각지대를 메워 나가려는 노력이 보완돼야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