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편료 원가보상률 76.9%… 674억 적자

입력 2017-10-10 09: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내 우편료 원가보상률이 지속적으로 떨어지면서 우체국 경영환경이 악화되고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김경진 의원은 지난해 우편료 원가보상률이 70%대까지 떨어지며 우체국 적자 상황이 누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원가보상률이란 총수입을 총원가로 나눈 값을 말하는데, 100%가 넘어야 흑자다.

김 의원이 우정사업본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일반통상우편 원가보상률은 매년 낮아지다가 지난해 76.9%로 최저점을 찍었다. 2013년 246억 원이던 우편수지 적자액도 매년 누적되면서 지난해 674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올해 4월 1일부터 일반통상우편 요금이 30원 인상됐지만, 원가보상률은 지난해 대비 1.0%포인트 오르는데 그쳤다.

우편 관련 통계를 살펴보면 수익의 경우 2조 7~8000억 원대로 큰 변화가 없는데 비해 2013년 약 44억통에 이르던 총 우편 물량은 매년 감소하다가 지난해 약 39억통까지 줄어들었다.

한편 우편료 미수납액 현황을 보면 2013년에 18억 원에 달하던 우편료 미수납액은 2015년에 7억 원으로 감소했다가 지난해 다시 11억 원으로 증가했다.

김 의원은 “집배원 안전 보장 및 처우개선을 위한 정책 지원을 위해서라도 우체국 적자를 타개할 다양한 사업 개발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