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 북핵 해법 시각차 여전…푸틴 “제재와 압력만으로 안돼”

입력 2017-09-06 17: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대(對)북 원유 공급 중단 등 유엔 안보리 추가 제재 결의안 채택 힘들듯

▲문재인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6일 오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학교에 마련된 언론발표장에서 협정·서명식 및 공동언론발표를 하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6일 북핵문제 해법에 대해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며 이견을 나타냈다. 다만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긴장 완화는 시급한 과제라는 데는 인식을 같이했다.

러시아에 방문 중인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학에서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뒤 공동 언론발표를 했다.

북핵 문제와 관련해 문 대통령은 “우리 두 정상은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지난주 북한이 6차 핵실험을 강행한 것을 강력히 규탄했다”며 “한반도와 극동지역에 당면한 가장 시급하고 중대한 도전인 북한 핵·미사일 문제를 조속히 해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이어 문 대통령은 “저와 푸틴 대통령은 북한이 추구하는 핵미사일 개발은 잘못된 길이며 한반도에서 긴장을 완화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며 “저는 푸틴 대통령과 러시아 정부가 확고한 북핵불용 원칙에 따라 UN 안보리 결의 이행과 북한 문제의 외교적 해결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푸틴 대통령은 “감정에 휩싸여 북한을 막다른 골목으로 몰면 안 되고 냉정하게 긴장 고조 조치를 피해야 한다”며 “한반도 사태는 제재와 압력만으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또 푸틴 대통령은 “정치외교적 해법 없이는 현재 상황을 해결하기는 불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해 한·미·일 정상들이 협의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통한 북한의 고강도 제재·압박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나타냈다.

특히 현재 북한의 고강도 제재·압박 카드로 거론되고 있는 대(對)북 원유 공급 중단과 석유류 제품 수출 규제, 북한 해외 노동자 송출금지 등은 이번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안에 들어가는데 러시아와 중국의 반대가 있어 통과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푸틴 대통령은 “구체적인 구상은 러시아와 중국이 만든 북핵 해법 로드맵에 담겨 있다”며 “이것인 현실적·단계적 해법이니 당사국들이 관심을 기울여 달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두 정상은 앞으로 북핵문제와 관련한 전략적 소통과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