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協, ‘2016년도 의약품 등 생산실적표’ 발간..전문약 비중 83%, 원료의약품 생산액 증가폭↑
국내 의약품 시장에서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환자들이 병의원 진료를 통한 처방의약품 복용을 선호하면서 전문약과 일반약의 생산실적 격차가 처음으로 10조원을 돌파했다.
29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발간한 ‘2016년도 의약품 등 생산실적표’에 따르면 지난해 의약품 생산실적은 18조6022억원으로 전년(16조8378억원)보다 10.5% 증가했다. 2007년 12조5981억원과 비교하면 9년새 47.7% 늘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7/08/600/20170828044828_1118035_537_362.jpg)
완제의약품보다 원료의약품의 증가폭이 높았다. 완제의약품 생산실적은 2007년 11조5656억원에서 지난해 16조3186억원으로 41.1% 늘었고 같은 기간 원료의약품 생산실적은 1조325억원에서 2조2836억원으로 121.2% 치솟았다.
전문약과 일반약의 생산실적을 비교하면 전문약 편중 현상이 심화되는 추세다.
지난해 전문약 생산실적은 12조2946억원으로 2007년 8조7675억원보다 51.6% 늘었다. 반면 일반약 생산실적은 2007년 2조6475억원에서 지난해 2조7198억원으로 2.7% 증가하는데 그쳤다. 전문약과 일반약의 생산실적 격차는 2007년 6조1200억원에서 매년 증가하다 지난해 처음으로 10조원을 넘어섰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7/08/600/20170828045949_1118049_550_309.jpg)
의약품 생산실적에서 전문약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83%로 2007년 77%에서 6%포인트 상승했고 일반약은 23%에서 17%로 하락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의약분업 이후 환자들의 병의원 내원일수 증가, 일반약 비급여 확대 등의 영향으로 처방의약품 시장이 확대됐다"면서 ”건강기능식품의 수요 증가도 일반약 시장 침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라고 진단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7/08/600/20170828050055_1118052_600_294.jpg)
약효군별 생산실적을 살펴보면 지난해 동맥경화용제의 생산액이 1조1683억 원으로 가장 많았다. 항생제(1조1398억원)와 혈압강하제(1조1284억 원)도 연 생산액이 1조원을 넘었다. 이어 해열·진통·소염제(9,534억원), 소화성궤양용제(9,394억 원) 순으로 집계됐다.
최근 5년(2012~2016년)간 생산액 추이를 보면 비타민의 증가율(21.0%)이 가장 높았다. 독소류 및 톡소이드류(15.6%), 기타의 중추신경계약(14.6%), 동맥경화용제(10.5%), 안과용제(10.0%)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제약업계 종사자수는 9만4929명으로 집계됐다. 2007년 보다 30.9% 증가한 수치로, 연 평균 3.2%씩 고용을 늘렸다는 계산이 나온다. 지난해 기준 직군별로는 생산직이 33.8%로 가장 많았다. 영업직(27.9%), 사무직(18.5%), 연구직(12.5%), 기타(7.3%) 순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