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립 멤버도 떠나고…쓸쓸한 전경련 창립 56주년

입력 2017-08-14 11:0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오는 16일 창립 56주년을 맞는다. 그러나 이번 창립 기념일은 그 어느때보다 쓸쓸한 창립 기념일이 될 전망이다. 박근혜 정부의 국정 농단 사태에 연루되면서 전경련의 존립 기반 차체가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전경련도 이러한 분위기를 의식해 기념일 당일 특별한 행사없이 휴무에만 나설 예정이다.

재계 관계자는 "전경련의 존폐 문제가 도마에 오르내리는 상황에서 창립 기념일 행사가 어떤 의미가 있겠느냐"며 "창립 멤버들 마저 탈퇴한 상황해 창립 기념일 행사를 하기도 힘든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창립 행사마저 치를 수 없는 상황은 전경련의 현재 위상을 고스란히 나타내고 있다. 전경련은 1961년 창립된 한국경제인협회가 모태로, 일본의 게이단렌(경단련)을 모델로 삼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조부인 고 이병철 삼성그룹 회장이 주도해 창립했다.

한 때는 고(故) 이병철 삼성회장, 고 정주영 현대회장, 고 최종현 SK회장, 구자경 LG명예회장 등 한때 한국 경제를 주름잡았던 재계 주요 인물들이 전경련의 회장직을 도맡을 정도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1960년대 경제개발기에는 울산공업단지와 종합무역상사의 설립을 정부에 건의하는 등 산업발전 청사진을 제시했으며, 1970년대에는 은행 민영화를 시도하기도 했다. 특히 1997년 정치권이 무노동·무임금 원칙 폐기 등을 골자로 한 노동법 개정안을 밀어붙이자 '노동법 거꾸로 가고 있습니다'라는 제목의 신문광고를 통해 노동법 개정의 문제를 알리는 목소리르 내기도 했다.

그러나 1996년 노태우 비자금 사건, 2002년 대선자금 수사 등에 연루되며 추락하기 시작한 전경련의 위상은 지난해 박근혜 정부의 국정 농단 사태와 엮이면서 회복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됐다. 삼성과 LG, SK, 현대차그룹 등 전경련을 설립하고 전경련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주역들이 잇따라 탈퇴하면서 전경련은 급격히 위상이 추락하기 시작했고 최근에는‘재계 맏형’ 노릇 마저 대한상공회의소에 빼앗겼다.

고용노동부가 고시한 최저임금위원회 이의제기 가능 사용자단체 명단에서 경제 5단체 중 전경련이 유일하게 제외되면서‘전경련 패싱(passing·배제)’이란 신조어까지 등장했다.

낮아진 위상 탓에 규모도 절반 가까이로 줄었다. 이에 쇄신을 위해 발표한 혁신안을 추진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전경련 관계자는 "한국기업연합회(한기련)으로 명칭 변경도 선뜻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직원들의 이탈이 이어지며 내부적으로 불안정한 모습이 지속되고 있어 불안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