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네수엘라 제헌의회, 反 정부 성향 검찰총장 해임

입력 2017-08-06 16:5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루이사 오르테가 베네수엘라 검찰총장이 5일(현지시간) 자신의 집무실로 들어가려다 정부군의 저지로 들어가지 못하고 취재진 앞에서 정부를 비판하는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AP뉴시스

국제사회의 독재 심화 우려 속에 출범한 베네수엘라 제헌의회가 출범하자마자 루이사 오르테가 검찰총장을 해임하며 활동을 개시했다. 제헌의회가 숙청의 칼을 빼들면서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의 권력도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친정부 성향 인물로 채워진 제헌의회가 5일(현지시간) 첫 회의에서 반(反) 정부 성향의 루이사 오르테가 검창총장 해임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마두로 정권은 오르테가 총장이 사망자 100명 이상을 낳은 반정부 폭력 시위를 지원한 혐의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오르테가 검찰총장은 마두로 대통령과 대립하면서 제헌의회 선거 자체의 정당성을 비판하고 국가선거위원회 위원의 수사를 지시하는 등 마두로 대통령의 대척점에 선 인물이다.

오르테가는 해임과 관련해 성명을 내고 “제헌의회 활동은 헌법에 대한 쿠데타”라고 규정하며 “정부에 항복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날 오전 해임에 앞서 청사로 출근하려 했지만 제헌의회의 지시로 정부군이 입청을 막아섰다.

제헌의회는 오르테가 후임으로 친정부 성향의 윌리엄 사아브 국가인권위원장을 임명했다. 사아브 위원장은 친정부 인사 중에서도 강경파 성향인 것으로 알려졌다.

제헌의회는 이날 권한 행사 기간을 2년으로 연장한다고 발표했다. 마두로 정부는 당초 제헌의회가 개혁을 완수하는 데 6개월이면 충분하다는 입장이었다. 제헌의회는 의회 해산과 개헌, 법 개정 등 국가 최고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제헌의회는 이날 반정부 시위 세력의 폭력 범죄를 조사한다며 진실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전날 제헌의회 출범과 오르테가 총장 해임으로 국제사회의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전날 프란치스코 교황은 제헌의회 중단을 요구했다.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 등 남미 4개국이 참여하는 남미공동시장(메르코수르)은 베네수엘라가 민주주의 절차를 훼손했다고 비판하며 베네수엘라에 대해 무기한 자격정지를 결정했다. 다만, 인도적 차원에서 국경봉쇄와 무역 중단 등의 경제 제재는 보류했다. 이날 브라질 정부는 “브라질에 오길 원하는 베네수엘라인이 있다면 환영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