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검열에 굴복’ 궁지 몰린 애플…VPN 자율삭제에 비난 쏟아져

입력 2017-08-01 17:0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국 시장 확대를 위한 애플의 중국 당국 눈치 보기가 도를 넘어섰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중국 정부의 정보 검열에 대한 애플의 침묵이 위험한 선례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1년 전 이용자의 자유와 사생활 보호를 이유로 미국 연방수사국(FBI)의 테러범 수사협조에는 ‘절대 불응’이라는 방침을 고수하던 애플이 중국에서는 중국 정부의 정보통제에 자진 협조하는 모순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비판이 제기된 배경에는 애플이 최근 해외 인터넷 우회접속 프로그램인 가상사설망(VPN) 앱을 중국 앱스토어에서 삭제한 데 있다. VPN은 중국 당국이 정보통제를 위해 구글 등 해외 사이트를 차단하는 인터넷 감시시스템 ‘만리방화벽(Great Firewall)’을 우회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애플은 해당 조치에 대해 “중국의 새 규정에 부합하지 않는 몇몇 VPN 앱들을 제거할 필요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애플이 미국 정부에 대응했던 것과 달리 중국의 압력에 굴복해 순순히 VPN을 삭제, 사용자 권익을 사실상 방기했다고 지적한다. 인터넷인권단체 ‘일렉트로닉프런티어재단(EEF)’의 에바 갤퍼린은 “애플의 대응은 엄청나게 실망스럽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이러한 조치는 과거 애플의 행보와는 대조적이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애플 웹사이트에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중국 정부를 질타하는 공식 서한을 공개하기도 했다. 하지만 현재는 이러한 서한은 찾을 수 없다. 문제는 애플의 이러한 조치가 위험한 선례가 될 수 있다는 데 있다. NYT는 중국의 애플 사용자뿐만 아니라 다른 권위주의 정권이 있는 국가에서 중국의 애플 길들이기 방식을 모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러시아는 최근 VPN을 막는 법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전체 매출에서 25%를 차지하는 중국의 압력에서 벗어나기는 어려웠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외국기업이 현지 시장에 진출해 현지법을 따르며 수익을 추구하는 것이 기업의 당연한 의무이자 권리이기 때문에 애플의 조치를 마냥 비난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애플뿐 아니라 아마존도 컴퓨터 클라우딩 서비스인 아마존웹서비스 중국어판에서 VPN 서비스를 금지하기 시작했으며 페이스북도 정부 당국의 입맛에 맞는 여러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