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中 사업부 책임자 직책 신설·선양 출신 부사장 임명

입력 2017-07-19 16: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국 당국과의 스킨십 늘리기 위한 포석인듯

▲애플의 대중화권 사업부 부사장 겸 상무이사를 맡게된 이사벨 게 마에. 사진=애플

애플이 판매 부진을 면치 못하는 중국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특단의 조치를 내렸다. 애플은 18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9년간 무선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팀을 이끈 이사벨 게 마에(Isabel Ge Mahe)를 이번에 신설한 직책인 대중화권 사업 부사장 겸 상무이사로 임명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뉴욕타임스(NYT)는 마에가 애플은 물론 IT 업계에서 가장 힘든 직책인 중국 시장 책임자를 맞게 됐다고 평가했다. 그도 그럴 것이 중국시장은 규모 면에서는 세계 최대를 자랑하지만, 당국의 규제로 인해 진입은 물론 시장 확대도 어려운 시장으로 손꼽히기 때문이다. 애플이 대중화권 책임자라는 직책을 신설해 중국 선양 출신인 마에를 전면에 내세운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마에 부사장은 애플에 입사하기 전 영업과 규제 당국과 접촉이 잦은 외국계 회사에서 엔지니어링 매니저로 일한 경력이 많다고 NYT는 전했다. 그는 애플에서 지난 9년간 와이파이(Wi-Fi)와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기술 부분에서 일했다. 이번 인사로 마에는 대중화권 팀을 이끌기 위해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중국 상하이로 자리를 옮기게 된다.

중국 시장은 애플의 최대 시장이지만 최근 시장 지배력이 흔들리면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최근 여러 개 분기 판매 부진을 면치 못했다. 실제로 지난 4월 1일에 마감하는 올해 1분기 중국 매출은 14% 감소했다. 애플의 지난 1분기 매출이 준 시장은 중국뿐이었다. 중국 본토 업체인 오포와 비보, 화웨이 같은 업체가 가격경쟁력으로 중무장한 채 프리미엄 폰 시장에도 뛰어들면서 경쟁이 치열해졌기 때문이다.

특히 올가을 아이폰 10주년 작 공개를 앞두고 매출 증가에 대한 부담감도 이번 직책 신설과 중국 출신 인사 임명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10주년 작이라는 타이틀을 위해 그간 아이폰 차세대 모델 구매를 연기해온 중국 수요를 잡으려면 보다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판단이 작용했을 것이란 이야기다.

애플은 최근 중국 시장을 잡기 위해 중국 당국과의 스킨십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지난 12일 애플은 중국 구이저우성에 10억 달러(약 1조1430억 원)를 들여 중국 내 첫 데이터센터를 건립한다고 발표했다. 애플은 이미 중국에 총 4개의 연구·개발(R&D) 시설을 세운다는 계획도 갖고 있다. 하지만 이번 애플의 데이터 센터 구축이 중국 정부의 새 사이버보안법에 따른 것으로, 인터넷 통제를 강화하려는 중국 정부의 의도에 애플이 부응하고 있다는 우려와 비판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새 사이버 보안법이 애플은 물론 해외 기업에 대한 규제를 한층 강화하는 구실이 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