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빨간 마티즈’ 사건, 자살 아냐” 유족 주장…“아들 얼굴 다 터져있어, 협박 두려웠다”

입력 2017-07-13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출처= 연합뉴스, YTN 뉴스)

2015년 ‘국가정보원 민간인 해킹 사건’이 불거졌을 당시 자신의 마티즈 차 안에서 숨진 채 발견돼 자살로 결론 난 국정원 직원 임 모 과장의 유족이 타살을 주장하고 나섰다.

13일 노컷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임 과장의 아버지는 “시신을 마주했을 당시 아들의 얼굴에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상처가 많아서 놀랐다”라면서 “오죽하면 부검을 해달라고 했다”라며 타살 의혹을 제기했다. 임 씨는 또 “자살이라면 왜 몸뚱이에 상처가 있고 얼굴이 다 터졌냐”라며 “아들은 자살할 성격과 상황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임 씨는 '빨간 마티즈' 사건과 관련, 당시 정부와 경찰의 협박과 외압도 있었으며 이 때문에 2년 가까이 침묵해온 것이라고 주장했다. “당시 아들의 시신을 보는 것도 차단돼 어머니와 며느리는 숨진 임 과장을 보지도 못했다”라면서 “장례식 때는 경찰이 ‘아버님의 이유와 조건으로 상황이 뒤집어지면 말썽이 된다’라며 명백한 협박을 했다”라고 말했다.

임 씨는 또 당시의 두려움을 지금까지 가지고 있다고 호소했다. 그는 “손녀가 육사에 있어 피해가 걱정돼 아무런 말도 할 수 없었다. 손녀만 아니었다면 당시 바로 폭로했을 것”이라며 분노하면서도 “세상이 바뀌었다지만 또 무슨 일을 당하지 않을까 걱정이다”라며 불안함을 내비쳤다.

국정원 '빨간 마티즈 사건' 이란 2015년 7월 18대 대선 관련, 국정원의 민간인 사찰과 선거개입 의혹을 말한다. 당시 국정원의 팀장급 간부였던 임 과장은 해킹프로그램을 구매한 인물로 '해킹팀 유출사건'의 중심에 있었다. 그는 같은 달 18일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면 화산리의 한 야산 중턱 마티즈 차량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당시 차량 안에서는 ‘이번 사건은 민간인 사찰과 무관하다’라는 내용의 유서가 발견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