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환 힘스 대표 “올 매출 860억…OLED 성장 전망”

입력 2017-07-11 13: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올해 5월까지 매출이 381억 원이며, 수주잔고를 고려할 때 확정된 매출이 860억 원이 될 전망이다.”

김주환<사진> 힘스 대표는 11일 기업공개(IPO) 간담회에서 “글로벌 OLED 시장 성장 및 핵심 고객사의 공격적인 시설 확대에 따라 매출 확대가 이뤄질 것”이라고 이 같이 밝혔다.

힘스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생산에서 핵심공정인 증착공정에 필수적인 OLED Mask 공정장비를 제작하는 전문기업이다.

1999년 설립된 힘스는 반도체 후공정 머신비전 제조를 시작으로 비전장비의 국산화 및 보편화를 이끌었다. 이후 적극적인 연구개발(R&D)를 진행했고, 2006년에 OLED장비 개발을 시작으로 현재의 기틀을 마련했다.

2005년부터 2016년까지 연평균 19.9%의 매출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주요 매출처는 삼성디스플레이며, 경영실적은 2016년 기준 매출 509억 원, 영업이익 66억 원을 시현했다.

힘스의 제품은 크게 OLED 장비와 Non-OLED 장비, 기타 및 모듈사업으로 구분된다. OLED 장비는 Mask공정장비와 Glass검사장비를 포함하고 있다. Non-OLED 장비는 디스플레이, 반도체, 헬스케어(Health-care) 관련 장비이며, 기타 및 모듈사업은 비전모듈과 비전파츠이다.

OLED 장비부문의 매출은 2016년 443억 원으로 전체 매출 대비 87.1%의 비중이며, 2017년 1분기 현재 216억 원으로 전체 매출 대비 95.7%를 차지하고 있다. OLED 장비부문의 매출이 집중되는 요인은 핵심 고객사인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 장비 발주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Non-OLED 장비는 2016년 기준 29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고, 전체 매출에서 5.8%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힘스의 주요 고객사로는 삼성디스플레이, 중국의 대형 디스플레이 업체 등이 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시장지배력 강화와 OLED패널 대량 공급에 따라 마스크(Mask) 공정장비 매출이 증가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 관련 투자 증가와 Apple사의 Flexible OLED 채택은 향후 매출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힘스는 2016년 중국 진출을 통해 중국 대형 디스플레이사와 공급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매출처를 다변화하고 있으며, 중국의 본격적 OLED 투자에 따른 수혜가 기대되고 있다.

최근 OLED의 수요 증가는 LCD시장을 대체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에서도 주요 제조사의 OLED 채택으로 2019년에 LCD의 시장점유율을 역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회사측은 글로벌 OLED 패널 시장은 2022년 283억 달러 규모로 성장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14년~2022년까지 연평균 16.0%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업공개 주관사는 KB증권과 SK증권이며, 액면가 500원에 공모 주식수는 80만 주의 일반공모 방식이다. 공모 후 총 주식수는 496만8000주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