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으로 가는 현대重 노사 갈등...정치권 개입에 형세 복잡

입력 2017-07-10 10:1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현대중공업 노사간 협상이 난항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쉽사리 해결책을 찾지 못하는 모습이다. 노조가 노동 존중을 표방하고 있는 새 정부 기조에 맞춰 노사간 문제를 정치쟁점화에 나서면서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지부 1000명의 조합원들은 오는 12~14일 2박3일간 노숙 상경투쟁에 나선다. 이에 앞서 지난 5일부터는 전 간부의 상경투쟁도 시작했다.

특히 백형록 현대중공업지부장은 상경투쟁 이튿날인 6일 김종훈(울산동구·무소속) 의원과 함께 세종시 정부종합청사를 방문해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을 면담했다.

이 자리에서 백 지부장과 김 의원은 현대중공업의 자사주 의결권 허점 이용과 일감 몰아주기, 하청업체에 대한 일방적인 기성비 삭감 등의 문제를 엄정히 조사해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현대중공업이 자사주 의결권 제도가 갖는 허점을 이용해 회사를 인적 분할함으로써 대주주의 지분율을 크게 높였다고 설명하며 이런 행태는 법의 취지를 거스르는 것이고 정의에도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김상조 위원장은"현대중공업 지주회사 전환과 관련한 사항은 공정위 소관이다"며 "문제가 있다면 공정위뿐 아니라 금융위 등과 협의를 통해 살펴보겠다"고 답했다.

노조가 나서 사업 분할문제를 정치쟁점화하고 있는 것이다. 회사 분할이 조합원들의 고용불안과 임금삭감, 근로조건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지난 5월 우원식 더불어 민주당 원내대표와 한 차례 간담회를 통해 의견을 전달했던 현대중공업노조는 이번 상경투쟁에서도 만남을 가졌으며 국민의당지도부에도 노조의 입장을 전달했다.

현대중공업 노사는 현재 '2016년 임단협'도 마무리 하지 못한 상황이다. 회사는 조선업황 불황에 따른 수주절벽으로 하반기 5000여명의 유휴인력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자 임금 기본급 20% 반납 및 순환휴직을 제안했고, 노조는 이에 반발하며 갈등을 빚고 있다.

노사는 이달부터 2016년 임단협과 2017년 임금협상을 묶어 통합 교섭 중이지만 여전히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