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금융부 차장
케이뱅크는 6월 말 현재 수신 6200억 원, 여신 5700억 원을 기록했다. 올해 목표 여·수신액 9000억 원은 오픈 70여 일 만인 지난달 15일 초과 달성했다.
앞서 케이뱅크는 출범한 지 한 달이 채 안 된 4월 말 수신 3200억 원, 여신 2200억 원을, 5월 말에는 수신 4500억 원, 여신 4100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석 달 동안 가계 신용대출 증가액을 계산하면 한 달 평균 2000억 원가량 늘어난 셈이다. 이는 지난해 8개 은행의 신용대출 평균 순증치의 2배 수준이다.
케이뱅크의 대출 상품은 시중은행보다 낮은 금리가 매력으로 작용했다. 스마트폰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 간단한 정보만 입력하면 신용등급에 따라 대출이 가능한 편리성도 한몫했다.
케이뱅크의 대출 상품은 불티나게 팔렸다. 특히 최저 연 2.65%의 이자로 돈을 빌릴 수 있는 ‘직장인K 신용대출’이 큰 인기를 끌었다. 그런데 케이뱅크가 최근 이 상품의 판매를 돌연 중단했다.
케이뱅크는 지난달 15일 직장인K 신용대출의 3가지 방식 중 한도거래(마이너스통장) 상품 판매를 일시 중단한 데 이어 이달 1일 원리금균등분할상환, 만기일시상환 등 나머지도 팔지 않기로 했다. 판매 재개 시점은 미정이다.
케이뱅크 측은 하반기 주택담보대출 상품 출시를 앞두고 여신 포트폴리오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신용대출 리뉴얼을 진행하려고 판매를 잠정 중단했다는 입장이다.
신용 대출 증가세가 예상보다 빨라 속도 조절을 하기 위한 조치라는 것인데, 선뜻 이해가 가지 않는다. 대출 속도를 조절하려면 다른 시중은행들처럼 금리를 올리면 될 일이다.
케이뱅크는 이번 결정을 내리면서 금융소비자는 뒷전이었다. 직장인K 대출 상품 판매 중단 계획을 불과 1~2일 전에 공지사항을 통해 알렸다. 거래 은행이 갑자기 대출 상품의 판매를 중단하면 금융소비자들은 불안해질 수밖에 없다.
만약 시중은행이 그랬다고 치자. 당장 금융감독원이 현장 조사에 나선다. 금융소비자들의 원성이 커지고, 대출 차질로 입은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청구 등 소송에 휘말릴 수 있다.
케이뱅크의 매끄럽지 못한 대처도 아쉽다. 케이뱅크는 부인하지만, 이번 대출 상품 판매 중단은 자본 확충 문제와 깊이 연관됐다. 대출을 늘리면 위험 자본이 증가해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이 떨어진다. 이 때문에 증자를 통해 자기자본을 늘려야 하지만, 산업자본의 은행 지분 소유 한도를 10%(의결권 4%)로 제한한 은산분리 규정 때문에 쉽지 않다.
이번 대출 상품 판매 중단은 어느 정도 예견됐던 셈이지만, 그동안 케이뱅크는 국회만 바라봤다.
현재 케이뱅크가 자본 확충을 할 방법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모든 주주가 같은 비율로 출자하거나 실권주를 인수할 제3의 주주를 찾으면 된다. 우리은행, NH투자증권 등 보유 지분 제한에서 자유로운 금융 주주의 도움을 받는 것도 현실적인 대안이다. 물론 스타트업을 포함한 19개사에 달하는 주주를 일일이 설득해야 하는 만큼 간단한 일은 아니다.
그러나 금융소비자들과의 약속을 지키는 것보다 중요한 일은 없다. 신뢰는 은행의 생명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