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코스닥의 부활을 꿈꾸며

입력 2017-07-03 10:5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남주현 기업금융부 기자

지난달 코스피는 출범 34년 만에 처음으로 장중 2400선을 돌파했다. 연초 이후 상승률만 봐도 18%를 넘어섰다. 그야말로 승승장구(乘勝長驅)이다.

반면 코스닥은 위기이다. 대표주들은 이탈하고, IT·벤처로 대표되는 정체성(正體性)도 퇴색되고 있다. 올 들어 상승률도 5%대에 머물렀다.

코스닥은 기술주 위주인 미국의 나스닥(NASDAQ)을 벤치마킹해 1996년 개설됐다. 이듬해 IMF 폭탄을 맞고 휘청이기도 했지만, 곧 이은 벤처 열풍으로 흥행몰이에 성공했다.

하지만 최근의 부진은 심상치 않아 보인다. 과거 코스닥이 경제 호·불황을 원인으로 코스피와 유사한 움직임을 보였다면, 최근에는 디커플링(decoupling, 탈동조화) 현상이 짙어지고 있는 탓이다.

업계에서는 코스피 상장사들의 높은 수익률이 코스닥 투자자를 끌어당겼다는 점을 가장 큰 원인으로 꼽지만, 핵심은 아니다. 코스닥 스스로가 발목을 잡았다. 빈번한 상장사 임원의 잦은 배임·횡령 소식, 주가 조작설 등은 코스닥 시장 전반의 신뢰를 떨어뜨렸다. 투기적인 세력이 활개를 쳐도 당국의 개입은 미미했다.

악재가 쌓이자 투자자가 떠나갔고, 이전 상장으로 기업들마저 자리를 뜨고 있다. 출범 후 네이버 등 50여 개에 이르는 기업이 코스피로 옮겨갔고, 이제는 카카오마저 이전 절차를 밟고 있다.

또 다른 문제점은 상장 기준이다. 기술·벤처 기업의 자본 조달 시장이 되어야 함에도 그동안은 몸집의 차이로 시장을 구분하는 일이 굳어졌다. 코스닥은 자기자본 30억 원 이상, 최근 매출액 10억 원 이상일 경우 상장이 가능하다. 하지만 코스피는 각각 300억 원, 1000억 원을 요구한다. 코스닥에 상장한다는 이유로 ‘2류 기업’이라는 인식을 심어준 셈이다.

코스닥은 2부 리그가 되어선 안 된다. 당국은 문턱을 낮춰 상장사 수만 늘릴 게 아니라, 펀더멘털(경제 기초 여건)이 양호하고 시장 특성에 맞는 기업들을 투자자에게 선보여야 한다. 그게 코스닥의 존재 이유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