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中企와 5G 중계기 공동개발… 5G 생태계 확대

입력 2017-06-21 09: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KT 직원이 중소기업 협력사 직원들과 5G 중계기와 기지국을 연결해 5G 데이터를전송하는 테스트 진행하고 있다.(사진제공= KT)

KT가 중소기업과 손잡고 5G 중계기 개발에 성공, 5G 생태계 확대에 나선다.

KT는 내년 평창에서 선보일 5G 시범 서비스에 활용될 5G 중계기 개발을 완료하고, 이를 평창 5G 규격을 준수한 기지국과 연동하는데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에 성공한 5G 중계기는 빌딩 내부에서도 안정적인 5G 서비스 커버리지를 확보하기 위해 개발된 장치다. KT와 중소기업 협력사가 지난해부터 공동으로 연구하고 개발해왔다.

현재 4G(LTE) 환경에서 활용하고 있는 디지털 광 중계기를 5G 네트워크에 적용할 경우, 아날로그(무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연시간 때문에 5G 기지국과 단말이 정상적으로 연결되기 힘들다. 또 수백㎒의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활용하는 5G 특성상 광케이블의 전송량(대역폭)이 5G 데이터 전체를 감당할 수 없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KT는 기존 중계기에서 발생하는 지연시간을 5G 기지국에서 보정해 원활한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기능을 개발해 이번 5G 중계기에 도입했다. 더불어 5G 데이터를 빠짐없이 전송하기 위해 광 신호로 광 케이블을 통해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는 ‘RoF(Radio over Fiber)’ 기술도 적용했다.

KT는 5G 중계기와 ‘평창 5G 규격’을 준수해 KT와 삼성전자가 개발한 5G 기지국을 연동해 테스트를 진행했다. 5G 중계기와 기지국은 상호 연결된 상황에서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했고, 건물 내에서도 넓은 5G 서비스 커버리지가 보장됐다고 KT 관계자는 설명했다.

KT는 이번 5G 중계기 개발과 같이 5G 서비스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중소기업과의 상생을 위해 지속 협업할 계획이다.

서창석 KT 네트워크전략본부장은 “글로벌 5G 시장 선점을 위해서 필요한 차별화된 5G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상용화 될 수 있도록 중소기업과의 협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