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정부, “美금리인상 시장예상 부합…국내외 리스크 요인 철저히 대비”

입력 2017-06-15 09:5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가 미국 금리인상이 당초 시장의 예상에 부합한 것으로 평가하면서도 국내외 리스크 요인에 철저히 대비하겠다는 방침을 잡았다. 또한 국내 금융시장을 철저히 모니터링하면서 필요시 시장 안정 조치를 적기에 추진하기로 했다.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은 15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한 뒤 이러한 입장을 밝혔다. 이날 거시경제금융회의에는 고 차관을 비롯해 정은보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장병화 한국은행 부총재, 서태종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정규돈 국제금융센터 원장 등이 참석해 연준의 6월 FOMC 결과와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이날 미국 중앙은행(Fed)은 6월 FOMC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0.75~1.00%에서 연 1.00~1.2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이날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1.25%)는 같아지게 됐다. 연준은 올해 모두 3차례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하면서 올 하반기 한 차례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뒀다. 연준은 올해 3월 0.25% 포인트 인상한데 이어 3개월 만인 이날 두번째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고 차관은 “이번 연준 결정은 당초 예상에 부합하는 것으로 시장에서는 큰 변동성을 보이지 않고 있다”며 “미국 시장에서 주가는 큰 변동이 없는 가운데 금리 하락이 나타나고 달러화는 소폭 약세를 보였으나 원화 등 주요국 통화는 강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 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차이가 축소되면서 외국인 자금 등 국내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했다.

고 차관은 “양호한 대외건전성 등에 힘입어 중앙은행과 국부펀드 등 중장기 외국인 채권투자자 비중이 확대됐다”며 “외국인 자본유출입은 내외금리차뿐만 아니라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그럼에도 고 차관은 “정부와 관계기관은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높은 긴장감을 가지고 우리 금융ㆍ외환시장 상황을 철저히 모니터링하는 한편 시장 변동성 확대시 적절한 시장안정 조치를 적기에 추진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글로벌 금리가 빠르게 상승할 경우 우리 가계와 기업에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금리상승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철저히 대비하겠다”고 덧붙였다.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국내 금리인상 압박을 고려한 가계부채 종합대책도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마련한다는 입장도 세웠다.

고 차관은 “가계부문은 최근 가계부채 급증세와 금리 상승추세 등을 감안해 가급적 8월 중에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마련하도록 하겠다”며 “기업부문은 중소ㆍ중견기업의 자금조달 여건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중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끝으로 고 차관은 “새 정부의 여러 정책과제들을 차질없이 추진하기 위해서는 대내외 리스크 요인에 대한 안정적 관리가 필수적”이라며 “정부와 관계기관은 우리 거시경제와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긴밀히 협업하고 대응해 나가겠다”고 재차 역설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