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속에서도 LTE 터진다… SKT, 수중통신망 기술 확보

입력 2017-05-31 09: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SKT-호서대, 기지국기반 수중통신망 연구성과 공개센서로 측정한 바닷속 수온·조류·염도 등 지상 전송…잠수함 방어체계 구축 및 쓰나미·해저지진 조기 경보, 적조 감시 등 활용

SK텔레콤이 바닷속에서 LTE 방식으로 사진과 문자를 전송하는 데 성공하면서 통신 음영지역으로 남아있는 바닷속 통신이 가능하도록 기지국 기반 수중통신망 기술 확보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SK텔레콤은 호서대(연구책임자 고학림 교수)와 인천 남항 서쪽 10km 해상, 수심 약 25m 깊이, 송수신 거리 약 800m 환경에서 LTE 방식을 활용해 바닷속 기지국 기반 통신기술 시험에 성공했다고 31일 밝혔다. 연구진은 이날 바닷속 수온과 염도·조류속도 등 10여 가지의 정보를 측정, 이를 음파(3~70KHz)에 LTE 주파수를 얹는 방식을 활용해 문자와 사진 데이터를 20초 간격으로 연속 송수신했다. 바닷속에 수중 기지국을 만드는 수중통신 방식 실증에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고학림 호서대 교수는 “이번 시연을 통해 수중기지국에 집적된 각종 데이터를 수중 통신을 통해 해상부표 전달하는데 성공, 수중 기지국 테스트베드 조성을 위한 핵심 연구 단계를 넘어섰다”고 평가했다.

수중 기지국 기반 통신망은 ‘수중 센서-수중 기지국-해상 통신 부표’로 구성된다. 센서에서 수집된 정보는 기지국을 거쳐 해상 통신 부표로 전달되고 이 데이터가 다시 위성·LTE 등 통신망을 거쳐 지상으로 전송된다.‘바닷속 통신 고속도로’에 비유되는 수중 기지국을 설치해 지름 20~30km 지역 내에서 수중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와 통신하면 간섭을 최소화하고 저전력으로 관리할 수 있다. 기존 음파를 활용한 1:1 통신과 비교할 때 변동성이 심한 수중 통신 환경을 극복하고 저전력·체계적 운용이 가능해 실시간·장시간 수중 관측을 할 수 있다.

바닷속 유선통신망과 비교할 때 훨씬 적은 비용으로 구축·운용도 가능해진다. 수중통신기술을 활용하면 기지국 주변 수중 소음 센서를 이용, 잠수함 등을 탐지하고 식별하는 국방용으로 이용 가능하다. 해양 선박 사고 발생시에는 수중 기지국을 사고 위치에 설치해 잠수부나 수중 로봇과의 통신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