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제외한 11개국 “11월까지 TPP 발효 방안 마련할 것”

입력 2017-05-21 18: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APEC 통상 장관 회의에서 합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이 미국을 뺀 나머지 11개국만으로도 이를 지속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자고 21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 회의에서 밝혔다. 출처 = AFP연합뉴스

미국을 제외한 11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가입국이 미국이 없는 TPP를 지속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11개국은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통상 장관 회의에서 이 같은 의견에 합의했다고 2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미국이 올해 TPP 탈퇴를 선언한 뒤 처음 이뤄진 회원국 간 최고위급 회동이다.

토드 맥클레이 뉴질랜드 무역장관은 “오는 11월 APEC 정상 회의가 베트남에서 열리기 전에 고위급 회담을 재개할 것”이라며 “미국을 제외한 11개국만으로 협정을 강행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또 11개국 통상장관들은 공동 성명을 통해 “개방시장을 유지하도록 하고 규율에 기초한 국제통상질서를 강화하고 국제교역을 촉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과 뉴질랜드는 미국이 빠진 TPP를 추진하려고 로비를 해왔다고 WSJ는 전했다. 지금까지 자국의 입법부에서 TPP 비준한 나라는 일본과 뉴질랜드뿐이다. 미국의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APEC 통상장관 회의 종료 직후 기자회견에서 미국은 TPP에 복귀하지 않을 것이라고 뜻을 밝혔다.

일본 정부는 지난 1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TPP 탈퇴를 공식 선언하고 나서 미국 뺀 TPP를 추진하려고 노력해왔다. 그러나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은 미국이 빠진 TPP의 조기 발효에 부정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호주의 스티븐 시오보 무역장관도 미국이 포함된 원래 형태로 TPP를 체결하지 않으면 전체 협약이 무너질 수 있다고 앞서 경고했다.

한편 이날 공동성명에서는 보호무역주의를 배격한다는 문구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라이트하이저 USTR 대표는 이날 회의에 참석해 미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정책 기조를 반영해 무역 왜곡조치의 시정, 자국의 무역적자의 해소 등을 위해 자유(free)ㆍ공정(fair)ㆍ개방(open) 무역이 아태지역에서 핵심 가치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