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서울에 주소를 둔 거주자가 아닌 조사시점에 서울에 머무르고 있는 인구를 기준으로 한 새로운 인구모델을 개발한다고 26일 밝혔다.
서울시는 시가 보유한 빅데이터와 통신사 KT의 빅데이터를 융합해 '서울 생활인구'라는 새로운 인구모델의 개발을 착수해 올해 안에 개발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서울 생활인구'는 기존의 인구모델인 서울에 주소지를 둔 '상주인구'와 달리 조사시점에 서울에 머무르고 있는 모든 인구를 추산하는 모델이다. ‘상주인구’ 뿐 아니라 업무나 교육·의료 서비스 등의 이용을 목적으로 일시적으로 서울에 머물고 있는 '비상주인구', 관광으로 서울을 찾은 '외국인인구'까지 조사시점에 행정서비스 수요를 유발하는 인구를 모두 포함한다.
‘서울 생활인구’는 대중교통 이용통계, 인구‧사업체 센서스 자료, 택시운행 통행량, 건물 DB 등 시가 보유한 빅데이터와 KT의 통신 빅데이터를 활용해 추산한다. 서울 전역을 약 24만 개 구역으로 나눠 단위 유동인구를 파악하고, 약 1만6000여개의 통계청의 집계 단위별로 1시간 간격의 생활인구를 추계하는 방식이다.
서울시 측은 “직장·쇼핑·관광·의료·교육 등 서울의 행정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방문하는 실제 인구는 지속 증가하지만, 현재 상주인구를 대상으로 한 통계 방식은 현시성 있는 행정서비스 수요를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며 “기존의 국가가 공식 집계하는 인구통계는 상주인구만을 산정하고, 센서스 조사는 장기적 시간 간격을 두고 생산되는 방식이라 서울의 주민등록 인구통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도시 인프라 구축 등 수요를 잘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어왔다”고 새 인구모델 개발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서울 생활인구'는 2018년부터 서울시의 각종 인구정책과 시민 서비스에 두루 활용될 예정이다. 서울과 다른 지역 간 드나드는 인구의 분석, 서울 내 관광객의 이동경로 분석, 상권시스템 유동인구 분석, 교통수요분석, CCTV·가로등 설치 등이다.
‘서울 생활인구’ 통계는 향후 서울시 열린데이터광장 홈페이지를 통해 데이터를 제공해 개인이나 기업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공개한다.
최영훈 서울시 정보기획관은 “생활인구 통계는 기존 인구통계와 달리 현시성 높은, 소지역 단위 행정서비스 대상 인구로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구통계분야 혁신사례로 기대한다”며 “특히 협약파트너인 KT와 협력해 국가승인 통계화에도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