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광장 부분 잔디식재 결정…보수집회 점유지 빼고 진행

입력 2017-04-12 12:5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시는 오는 12일부터 보수단체의 불법 점유지를 제외하고, 서울광장의 잔디식재 작업을 실시한다고 12일 밝혔다. 사진은 지난해 잔디식재가 완료된 서울광장의 모습.(사진제공=서울특별시)

서울시는 오는 12일부터 봄맞이 서울광장 잔디식재 작업을 실시한다고 12일 밝혔다. 현재 보수단체가 불법점유하고 있는 부분은 제외하고 진행된다.

서울시 측은 “보수단체의 불법점유가 두 달 넘게 장기화되면서 잔디식재 작업이 기약 없이 연기됐다”며 “하지만 시민 모두를 위한 서울광장을 더 이상 황량하게 둘 수 없다고 판단해 불법점유 부분은 제외하고 일부분이라도 식재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현재 서울광장은 중앙부근에 '대통령 탄핵무효 국민저항 총궐기 운동본부(탄무국)' 등 보수단체들이 지난 1월 21일부터 대형텐트 41개 동을 설치해 점유 중이다. 당시 대통령 탄핵기각을 주장하며 시위를 시작했던 이들 단체는,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결정이 내려진 지난달 10일 이후부터는 탄핵 무효를 주장하며 점유를 이어오고 있다. 이로 인해 당초 3월 1일에서 4월 15일로 예정됐던 서울광장 잔디 식재작업은 무기한 연기됐다.

서울시는 당초 부분식재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이었지만 잔디 뿌리가 자리를 잡는 최적기인 3~4월을 놓칠 수 없고, 겨우내 관리되지 못한 광장이 도시미관을 저해하고 흙먼지가 날리는 등의 불편을 야기해 부분식재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점거 당일부터 현재까지 사전승인 없이 진행 중인 보수단체들의 점거는 불법 점유라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광장 점유가 시작된 지난 1월 21일 이후로 예정됐던 19개 행사가 취소 또는 연기됐으며, 오는 4월 중순~5월 말 행사 예정인 단체에도 사실상 광장 사용이 어려움을 안내한 바 있다.

서울광장 전체 개방과 행사 개최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서울시는 사실상 6월까지는 서울광장 전체사용과 행사개최가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불법점유 문제의 완전한 해결을 위해 서울시는 관계자를 수 차례 면담해 자진철거를 설득하는 한편, 무단점유에 따른 변상금 4000여만원을 부과하고 집시법 위반, 공무집행 방해 등 혐의로 관련자 7명을 남대문경찰서에 고발하는 등 대책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지난해 잔디 식재 당시 진행된 사물놀이패 공연과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체험행사 등은 올해는 진행되지 않는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광장은 서울의 심장부라는 공간적 의미는 물론, 역사와 문화가 살아있는 상징적인 장소로서 잔디식재를 더는 늦출 수 없다고 판단했다”며 “하루 속히 광장 전체를 덮은 푸른 잔디를 시민이 누릴 수 있도록 불법행위 해소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