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극적인 회동 후 한반도를 둘러싼 상황이 갑자기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다. 우려와 추측이 난무한 가운데 지난 6~7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 주 마라라고 리조트에서 열린 ‘세기의 회담’에서 두 정상이 비밀 회동을 가진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비상한 관심이 쏠린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중 정상회담이 끝난 후, 8일 항공모함 칼빈슨호를 중심으로 한 제1항공모함을 한반도에 급파했다. 싱가포르에 머물던 칼빈슨호는 호주로 이동할 예정이었으나 기존 계획을 파기하고 한반도행을 택한 것이다. 데이비드 벤험 미국 태평양사령부 대변인은 “북한의 무책임한 미사일 시험과 핵무기 개발은 위협적”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북한은 강력히 반발했다. 북한 외무성은 “우리를 건드리는 자들과 맞설 것”이라고 밝히며 새로운 움직임에 나설 가능성도 시사했다.
관건은 중국이 북한을 향해 추가 경제 제재를 강화할지 여부다. 미·중 정상회담을 근거 삼아 북한에 영향력을 가진 중국이 움직인다면 판세는 크게 흔들린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은 정상회담 당시 북핵 문제를 놓고 단독 회담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은 지난 9일 미국 ABC 방송 인터뷰에서 “두 정상은 상당 시간 일대일로 북한 문제를 논의했다”고 밝혔다. 틸러슨 장관은 “모든 옵션을 이야기했다”고 밝혔는데 이는 군사행동의 가능성을 일컫는 표현이다.
당시 미·중 정상회담의 공식 일정은 만찬, 확대 정상회담, 실무 오찬이 전부였다. 단독 회담이 공식 일정에 없었던 만큼 북핵 문제를 따로 논의했다는 것은 그만큼 북한 문제를 중요하게 여겼다는 의미다. 단독 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북한 문제를 언급하면서 중국의 대북 제재 강화를 요구했을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이 대북 제재를 강화하지 않으면 미국이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독자 행동 가능성을 무기로 중국을 압박했다는 추측에 무게가 실리는 이유다.
실제로 미·중 정상회담 이후 중국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한 통신에 따르면 10일 중국 당국은 북한산 석탄 수입 회사에 “북한산 석탄을 반환하라”고 지시했다. 해당 회사는 북한으로부터 가장 많은 석탄을 수입하는 회사로 알려졌다.
한편 미·중 정상회담의 성과로 꼽히는 무역 불균형 시정을 위한 100일 계획과 관련해 중국은 금융업 투자와 미국 축산물 수입 규제를 완화하기로 했다. FT는 중국 정부가 금융업 투자와 미국산 쇠고기 수입 금지 규제를 푸는 방침을 제안할 것이라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는 중국이 미국에 주는 선물이자 100일 계획의 첫 걸음이라는 평가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