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발주 공사장에 친환경 건설기계 의무화 등 종합대책 마련
중국 공업지역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서울지역 공기오염이 날이 갈수록 심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반면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의 영향은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6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지역별 기여도는 서울 22%, 인천 3%, 경기 9%로 수도권은 35%로 나타났다. 수도권 외 국내 지역은 11%, 중국 등 국외 지역은 55%로 조사됐다.
5년 전 2011년 기준으로는 서울 21%, 인천 3%, 경기 15%, 중국 등 국외가 49%였다.
즉 서울 미세먼지에 수도권이 끼치는 영향은 지난 5년간 39%에서 35%로 4% 포인트 줄어들었지만, 중국 등 국외 지역의 영향은 49%에서 55%로 6% 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지난해 배출원별 기여도를 살펴보면 난방 발전이 39%로 가장 컸고, 자동차가 25%로 2위를 기록했다. 이어 비산먼지 22%, 건설기계 등 12%, 생물성 연소 2%로 각각 나타났다.
서울 미세먼지(PM2.5, PM10) 농도는 2012년까지 감소세를 유지하다가 최근 들어 계속 짙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에 따르면 서울 시내 연간 평균 PM10 농도는 2003년 69㎍/㎥, 2007년 61㎍/㎥, 2010년 49㎍/㎥, 2012년 41㎍/㎥로 감소 추세였지만, 2014년 46㎍/㎥, 2015년 45㎍/㎥, 지난해 48㎍/㎥로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PM2.5 역시 2012년 23㎍/㎥ 이후 점차 증가해 지난해에는 26㎍/㎥를 기록했다.
황보연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베이징이나 심양을 거쳐 유입되는 미세먼지 양이 크게 늘었다”며 “중국 공업지대로부터 날아온 미세먼지가 서울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월별로는 봄철에 미세먼지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먼지(PM-10) 농도는 지난해 기준 4월이 71㎍/㎥로 가장 높았다. 이어 3월 64㎍/㎥, 5월 56㎍/㎥, 11월 52㎍/㎥ 등이 뒤따랐다. 농도가 가장 낮은 달은 7월로 33㎍/㎥였다.
초미세먼지(PM-2.5) 농도 역시 봄철인 3월이 32㎍/㎥로 가장 높았고, 4월과 12월 30㎍/㎥로 그 뒤를 이었다.
한편, 시는 지역별·배출원별로 미세먼지를 명확하게 밝혀내고자 앞으로는 2년 주기로 미세먼지 상세 모니터링 연구에 나설 계획이다.
시는 "미세먼지 배출량 변동이나 외부 영향 등을 밝혀내고 원인 물질의 우선순위를 분석해 미세먼지 감축 정책 개발에 활용하겠다"며 "보다 세밀하게 정책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연구 주기를 기존 5년에서 2년으로 단축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시는 6월 '2017년 대기질 개선 특별 대책'을 세우고, 내년 2월부터 2019년 8월까지 미세먼지 상세 모니터링 연구를 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