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달 트럼프 정부 들어 첫 기준금리를 인상한 이후 시장의 최대 관심사는 무엇일까.
앞서 연준은 올해 세 차례의 금리인상을 예고했으며, 일각에서는 네 차례도 가능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제 연준에 대한 관심사는 더이상 금리인상 횟수가 아니다. 금리인상을 실시하지 않아도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는 또다른 수단이 무엇이냐가 관건이다.
연준은 금융 위기 이래 비전통적인 금융완화 정책을 통해 4조 달러 이상의 자금을 시장에 투입했다. 연준은 시장에 충격을 주지 않으면서 보유하고 있는 이들 자산을 어떤 식으로 축소할 것인가. 다시 말하면, 연준이 매입해 보유하고 있는 미국 국채와 모기지담보부증권을 어떻게 줄이느냐 하는 것이 관건이다. 그동안 연준은 보유하고 있는 채권이 만기에 도달하면 상환한 만큼을 다시 채권에 투자해 자산 규모는 줄지 않았다. 기본적으로 완화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것이 재투자되지 않고, 그만큼의 연준의 채권 매입이 줄어들어야 실질적인 계약이 효력을 발휘하고, 결과적으로 연준의 자산 규모도 축소된다. 따라서 연준의 자산규모 축소는 금리인상과 비슷한 정책효과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다.
지난달 31일 윌리엄 더들리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올해 또는 내년의 어느 시점에서 보유 자산을 재투자하지 않고 상환하게 되더라도 놀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금리인상 대안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금리인상을 중단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이는 향후 금리인상 횟수를 둘러싼 논의에서 시장이 “연준의 자산 축소에 따른 금리인상 중단”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의미다. 이 경우 연준의 자산 축소에 따른 정책효과는 금리인상의 몇 회분에 해당할까. 이것이 향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활발하게 논의될 가능성에 주목해야 하는 부분으로 시장은 다시 미지의 영역에 발을 들이는 셈이다. 이 경우 벤 버냉키 전 연준 의장이 2013년 양적완화 축소 가능성을 언급했을 때처럼 시장은 혼란에 빠질 수 있다. 이른바 ‘테이페 탠트럼’에 따른 ‘버냉키 쇼크’가 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직에서 물러난 버냉키는 전 연준 의장의 입장에서 자신의 견해를 자유롭게 밝혔다. 그는 자신의 블로그에서 연준의 자산 규모 축소에 신중한 입장을 나타낸 바 있다. 버냉키에 따르면 시장에 유통되는 통화량이 리먼 사태 이전에는 8000억 달러 수준이었으나 현재는 1조5000억 달러로 증가했다. 연준 추계에서는 이것이 향후 2조5000억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경제 성장과 저금리, 해외에서의 달러 수요 증가 등이 꼽힌다. 연준이 보유한 최적의 자산 규모도 현재는 2조5000억 달러 이상으로 보고, 향후 10년간 4조5000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따라서 앞으로 몇 년간 자산 규모 축소를 굳이 서두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재닛 옐런 의장은 FOMC에서 자산 규모 축소가 논의되고 있다는 점은 인정했다. 이런 가운데 FOMC에서 영구 투표권을 가지며, 가장 영향력 있는 한 사람으로 볼 수있는 뉴욕 연은 총재가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가능성을 언급함으로써 시장도 주목할 수 밖에 없게 됐다.
마침 지난달 31일 미국 상무부가 발표한 2월 개인소비지출(PCE)에 따르면 인플레이션 지표(PCE 물가 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 물가 상승률이 결국 연준의 목표치인 2%를 돌파한 것이다.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지수도 1.8% 상승으로 연준의 목표치에 접근하고 있다. 연준이 통화정책을 정상화하는데 대한 정당성이 커지는 것이다.
다음 FOMC는 5월 2~3일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