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협착증, 증상 유사한 디스크로 오인하기 쉬워

입력 2017-04-03 11:3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허리통증은 누구나 한 번쯤 겪어봄 직한 통증이다. 허리를 많이 사용하는 직업군 뿐만 아니라, 장시간 컴퓨터 앞에 앉아 있는 사무직이나, 시험을 준비하는 학생 등 많은 이들이 허리통증을 겪고 있다. 흔히 허리에 통증이 느껴지면서 다리가 저려오면 허리 디스크를 의심한다. 하지만 허리 디스크와 비슷한 증상이 있는 척추관협착증도 한 번쯤 고려해 보아야 한다. 보기에는 비슷해 보이나 엄연히 다른 질환이기 때문이다.

척추관협착증이란 척추 중앙의 척추관, 신경근관 또는 추간공이 좁아지며 허리 통증을 유발하거나 다리에 여러 복합적인 신경 증세를 일으키는 질환으로, 대부분 중년층 이후 발병하기 쉬운 퇴행성 척추 질환이다. 평소 바르지 않은 자세를 가지고 있거나 허리에 무리가 가는 운동을 하는 경우, 외부 충격 등으로 해당 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척추의 퇴행을 더욱 빠르게 진행시킨다.

허리디스크는 요통과 함께 한쪽 다리 저림 현상이 주로 나타나지만, 척추관협착증은 양쪽 다리에서 저림과 통증이 동시에 발생한다. 이 두 질환의 가장 큰 차이점은 통증이 나타나는 자세에 있는데, 디스크는 허리를 앞으로 굽힐 시에 극심한 통증이 나타나지만,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를 굽히면 통증이 완화되고 뒤로 젖히면 통증이 나타난다.

권순만 지우병원 병원장은 “척추 및 다리에 통증이 발생한 경우에는 단순한 염좌라고 생각하기보다는 빠른 시일 내로 병원에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진단을 거친 후 환자의 증상과 상황에 따라서 교정, 주사, 물리치료와 같은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하며 이러한 치료에도 통증이 완화되지 않는 경우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간단한 보존적 치료법이 시행된다. 약물치료는 소염 진통제와 근육 이완제를 사용하며, 물리 치료는 간단한 마사지와 보조기를 병행한다. 증상에 별다른 차도가 없거나 통증이 심하면 감압적 수술과 척추 고정술을 진행하게 된다.

무엇보다 질환을 예방하는 게 가장 중요한데, 평소에 자주 스트레칭을 해주고, 몸에 무리가 가는 과격한 운동은 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초기 증상이 보일 때는 충분한 휴식을 취하거나 병원에 내원해 초기에 질환을 치료하는 게 좋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