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자 조작 없이 고속도로 달린다”…현대모비스, 2020년까지 자율주행 기술 개발

입력 2017-04-02 11:1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현대모비스가 2020년까지 운전자 개입 없이 고속도로를 달릴 수 있는 첨단 자율주행기술을 개발한다.

현대모비스는 지난달 30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17 서울 모터쇼-프레스데이’에서 이런 내용의 로드맵을 발표했다.

현재 현대모비스는 고속도로에서 차선 변경이나 분기로 진입이 가능한 HDA2(레벨2 고속도로주행지원시스템)을 확보했다. 양산 목표 시기는 2019년이다.

주행 자동화 레벨(미국 도로교통안전국 분류 기준)의 경우 △레벨0은 위험경고 △레벨1은 주행보조를 뜻한다. △레벨2는 운전자 판단 하의 주행 자동화 △레벨3은 운전자가 돌발상황에만 개입하는 부분 자율주행 △레벨4는 주변 교통 인프라 등과 정보를 교환해 돌발 사고 자체를 미리 막는 완전 자율주행을 말한다.

조서구 현대모비스 DAS부품개발센터장(이사)는 “2020년까지 자율주행 기준 레벨3 이상의 고속도로 자율주행시스템 기술을 확보하고 2022년 상용화할 예정”이라며 “HDA2보다 진화한 이 시스템은 운전자 개입 없이 고속도로 자율주행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 단계에서는 차량 운행 주도권이 운전자에서 시스템으로 넘어온다.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고성능 센서와 고정밀맵을 통한 정교한 인지, 제어 기술이 필요하다. 현대모비스는 이같은 하이테크를 담을 수 있는 자율주행 플랫폼(ECU)도 2020년까지 기술 개발 완료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현대모비스는 차량ㆍ사물 통신 시스템(V2X)과 운전자보조시스템(DAS)을 결합한 ‘C-DAS’ 기술도 개발하고 있다. C는 주변 차량, 신호등 같은 교통 인프라와 커뮤니케이션하는 연결성을 의미한다.

앞서 현대모비스는 △차간거리유지(SCC) △차선유지지원(LKAS) △후측방경고(BSD) △긴급제동(AEB) △반자동주차지원(SPAS) 등 자율주행을 위한 DAS 기술을 양산한 바 있다.

조 이사는 “C-DAS 기술은 이미 확보했지만, 다수의 차량과 교통 인프라에 V2X 단말기가 장착될 때 기술이 의미를 가진다”며 “북미와 유럽 지역에서 신차에 V2X 의무 장착이 법제화될 것으로 예상하는 2019년 하반기 이후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