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 내달 3일 정식 오픈...자본 확충은 발목

입력 2017-03-23 17: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내 최고 인터넷전문은행인 케이뱅크가 내달 3일 정식으로 출범한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4월 3일 서울 중구 전국은행회관에서 서비스 출범 기념식을 열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시작한다.

최근 케이뱅크가 공개한 ‘지배구조 및 보수체계 연차보고서’에는 올해 경영목표를 ‘안정적인 사업기반 확보’로 설정했다. 사업 첫해 예산은 878억 원, 인건비는 243억 원으로 책정했다. 급여체계는 시중 은행과 달리 모두 연봉제를 적용한다.

케이뱅크가 내세우는 가장 큰 강점은 편리성이다. 케이뱅크는 최대한 가볍고 단순하게 서비스를 구성했다. 하나의 앱에서 계좌 신규부터 대출이나 상품 가입은 물론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기(OTP)까지 모든 서비스를 24시간 365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원 앱과 함께 원 계좌 서비스도 진행한다. 케이뱅크는 300만 원 중 여유자금 100만 원의 경우 한 달짜리 단기 예금으로 설정해 놓으면 수시입출금보다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다. 상품 간 경계를 허물고 최소 기간도 짧게 줄여 쉽게 자산관리 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는 전략이다.

부족한 오프라인 채널은 편의점을 이용하기로 했다. 케이뱅크는 GS25 편의점에 이미 설치된 현금지급기(CD)나 현금자동입출금기(ATM)를 우선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산업자본의 은행 경영 참여를 제한한 은산분리 규제 완화가 이뤄지고 있지 않아 자본 확충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행 은행법에서 은산분리(4% 룰)를 명시하고 있는 만큼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이 주도하는 인터넷 전문은행의 지배구조로는 불가능하다.

케이뱅크는 현재 은행 설립을 위한 초기 자본금 2500억 원 중 시스템 구축이나 인건비 등으로 절반 이상을 사용한 상태다. 하지만 BIS(국제결제은행)의 자기자본비율을 지키면서 대출 영업을 하려면 늦어도 내년에는 2000억∼3000억 원 규모의 증자가 필요하다고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앞서 금융당국과 새누리당은 지난해부터 인터넷 전문은행에 한해 은산분리를 완화하는 은행법 개정을 검토해 왔지만, 야당의 반대에 부딪혀 진전되지 못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