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 격화되는 공룡 PEF들, 투자분야 넓어지지만 자금회수 ‘발등의 불’

입력 2017-03-21 09:23수정 2017-03-21 14:3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최근 은행ㆍ보험ㆍ증권사들에서는 인수금융(M&A 용도로 돈을 빌려주는 것)의 금리 수준이 화제다. 사모펀드(PEF) 운용사나 기업에 빌려주는 인수금융 금리가 금리 상승기에 되레 하락할 조짐을 보이고 있는 탓이다. PEF 간의 기업 인수 경쟁이 치열해지고, 또 그에 따른 파생시장이 규모의 성장을 이루면서 제로섬(Zero-sum) 상태에 접어든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는 이유다.

이 같은 문제가 제기되는 배경에는 일부 PEF의 기업 고액 인수 논란이 자리 잡고 있다. PEF는 투자자에게 적정 수익률을 보장해 줘야 한다. 인수금액보다 기업의 가치가 커지지 않으면 자금 회수는 어려워진다.

이 경우 일부 PEF는 배당 확대나 기업 자산을 이용한 인수금융 자본 재조정(Recapitalization)으로 투자금을 일부 회수한다. 기업의 지분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 일부 투자금을 상환하거나 여신 금리를 낮추는 방식이다. 칼라일은 올해 ADT캡스의 대출 규모를 1500억 원에서 4800억 원으로 늘렸다. 기업의 가치를 성장시켜야 하는 PEF 운용사가 오히려 역선택을 할 수도 있는 셈이다.

국내 대표 PEF인 MBK파트너스의 경우는 딜라이브(2008년 인수)와 네파(2013년)의 재매각이 쉽지 않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네파는 내년 4월 일부 인수금융의 만기가 도래한다. 이때 새 커버넌트(covenantㆍ채권자 보호를 위한 조건) 부여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PEF의 운용자산 규모가 확대되는 것에 대해서도 투자 수익률이 높아졌다기보다는 갈 곳을 잃은 기관들의 유동성 증가가 원인이란 분석도 제기된다.

MBK파트너스의 국내에 등록된 운용자산 기준 12조7000억 원을 운용하고 있다. 이 PEF 운용사는 지난해 말에는 전 세계 50여 개 기관으로부터 41억 달러(4조8000억 원)를 출자받아 4호 펀드 조성을 완료했다. 다만 당시 국민연금 등 일부 국내 기관들은 MBK파트너스의 자금회수 부진을 고려, 펀드 조성에 참여하지 않았다. 이처럼 국내에서의 성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해외 성적 호조와 글로벌 유동성으로 연 10% 안팎의 수익률을 보장해 주려는 PEF에 대한 기관의 투자가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MBK파트너스의 총 운용자산은 150억 달러(약 19조 원)로 LS그룹(2016년 4월 20조 원)과 맞먹는 수준으로 성장했다.

물론 PEF의 서비스업 진출이 문어발 확장이란 문제 제기에 대한 반론도 제기된다. 한앤컴퍼니는 국내 해운산업 구조조정에 참여,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일부 사업부를 인수해 에이치해운라인을 설립했다. 이로 인해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공사, 현대글로비스, 포스코 등 국내 주요 화주들은 벌크선 부문에서 선사를 바꿔야 하는 위험을 피할 수 있었다. 또 엘엑스인베스트먼트 등은 기업은행과 손잡고 펀드를 조성, 스타트업 등 성장산업에 투자하고 있다.

임석정 CVC캐피털파트너스 한국 회장은 “전자상거래 등 서비스업이 국내 시장에서 추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PEF의 자금이 조력자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