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4월 위기설의 실체

입력 2017-03-16 10:3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나은 국제부 기자

최근 금융시장에 ‘4월 위기설’이 확산하고 있다. 한국 경제를 둘러싼 대내외 불확실성 요소들이 4월에 집중돼 1997년 외환위기, 2008년 금융위기에 준하는 위기가 닥치게 될 것이란 우려이다.

4월 위기설의 진원지는 미국이다. 미국 재무부가 4월 의회에 제출하는 환율보고서에서 한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가능성이 리스크로 지목됐다. 여기에 대우조선해양의 4400억 원 규모의 채권 만기가 4월에 도래한다는 점도 위기설을 부추기고 있다. 일각에서는 대우조선해양의 워크아웃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다.

미 재무부의 환율보고서는 지난해 10월 관찰대상국으로 지목된 우리로서는 간과할 수 없는 대외 리스크이다. 일각에서는 이번에 한국이 환율조작국 지정을 피하더라도 중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면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경제 특성상 상당한 여파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한국과 중국 모두 환율조작국 지정을 피한다 해도 미 재무부가 환율 문제를 놓고 한국과 중국을 어떻게, 어느 정도 언급했느냐도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까지 직접 나서 4월 위기설을 일축했지만, 시장의 위기감은 좀처럼 걷히지 않고 있다. 사실 위기설은 잊을 만하면 반복돼 왔다. 혹자는 진짜 위기는 미처 예상치 못한 곳에서 나온다며 이러한 위기설의 신빙성을 낮게 보기도 한다.

그러나 정작 위기에 적극 대처해야 할 정부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정세에만 관심을 쏟는 모양새이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헌법재판소 결정 이후 탄핵 국면 수습보다는 대선 출마를 고심하느라 바빴다. 결국 불출마를 결정하긴 했지만. 트럼프 집권 이후 첫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에 전 세계의 관심이 쏠린 상황에서 당연히 ‘필참’이어야 할 유일호 경제부총리의 독일행을 두고 ‘권한대행의 권한대행’ 가능성에 불참 관측이 나오는 어이없는 상황이 연출되기도 했다. 내우외환(內憂外患) 상황에서 정부의 우왕좌왕하는 모습은 4월 위기설만 부추기는 꼴만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